지리산조운도 ()

목차
회화
작품
1948년에 정종여(鄭鍾汝)가 지리산 연봉(連峰)을 8폭 연폭에 묘사한 수묵산수화.
목차
정의
1948년에 정종여(鄭鍾汝)가 지리산 연봉(連峰)을 8폭 연폭에 묘사한 수묵산수화.
내용

청계(靑谿) 정종여(鄭鍾汝)가 그린 「지리산조운도(智異山朝雲圖)」는 구름에 싸인 지리산 연봉(連峰)의 광활한 풍광을 주제로, 준법(皴法)을 탈피하고 발묵(潑墨)과 서양화의 기법을 수용하여 웅장하게 묘사하였다. 형식적으로 8폭의 병풍이라는 고전적 형식을 사용한 점, 부감법에 의해 산의 전체 모습이 한 화면 안에 담기도록 구성한 점에서는 조선시대 금강산도에서 드러나는 전통적 시각의 특징을 보여 준다.

「지리산조운도」에서는 너비가 3.8m에 이르는 장대한 화면 전개와 함께, 먹의 유려한 농담(濃淡) 표현이 돋보인다. 새벽 운무가 짙은 지리산을 정확한 사생을 바탕으로 묘사하였는데, 세밀히 표현한 전경(前景)은 점차 멀어지는 공간감의 원경(遠景)과 대조를 이루며 직접 지리산의 산정(山頂)에서 조감하는 느낌을 준다.

안개 낀 영봉(靈峰)의 모습을 주제로 삼은 점에서는 요코야마 다이칸(横山大観, 1868~1958)이 자주 화폭에 담았던 「비가 그치다(雨霽る)」(1940)과 같은 후지산[富士山] 풍경, 정종여가 사사했던 이상범(李象範)이 「설악산」(1946)에서 선보인 웅장한 수묵 양식과 비견해 볼 수 있다.

한편 정종여는 경상남도 거창에서 출생하여 「지리산풍경」, 「가야산 해인사」, 「홍류동의 봄」 등 고향 주변의 가야산, 지리산을 그린 산수풍경화를 꾸준히 제작해왔다. 1942년에는 「금강산전망」을 이미 10폭 연폭병 방식으로 그렸으며, 특히 토성초등학교에서 보관중이던 정종여의 「지리산」은 「지리산조운도」와 유사한 주제와 화풍을 공유하여 동일한 시기에 그려진 작품으로 여겨진다.

「지리산조운도」는 해방 전 국내에서 그린 정종여의 대표작이다. 화면의 오른쪽 하단 ‘지리산조운도 무자초추 청계(智異山朝雲圖 戊子初秋 靑谿)’라는 낙관에서 1948년 가을에 그린 작품임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 근대미술을 빛낸 그림들』(정준모, 컬처북스, 2014)
『근대를 보는 눈-한국근대미술 : 수묵, 수채』(국립현대미술관, 1998)
『한국근대회화선집』북으로 간 화가들(금성출판사, 1990)
「청계 정종여의 작품 세계 연구」(이은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북으로 갔던 화가 정종여의 생애와 작품」(김복기,『월간미술』, 1989.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