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대놀음 (놀음)

목차
관련 정보
민속·인류
놀이
현대, 전라남도의 농악에서 일부의 뒤치배들이 탈을 착용하고 노는 해학적인 잡색놀이.
이칭
이칭
잡색놀이, 잡색탈놀이, 광대놀이, 뒤치배놀이
놀이
전승지역
전라남도
내용 요약

광대놀음은 전라남도 지방의 농악에서 뒤치배들이 탈을 착용하고 재담과 몸짓을 중심으로 재미있게 노는 잡색놀이를 말한다. 이들 광대들은 대부분 탈을 착용하기 때문에 이 놀이는 탈놀이적 성격을 지닌다. 내용은 양반과 할미, 각시, 포수 등의 삼각관계를 해학적이고, 극적으로 다루고 있다. 한편, 광대놀음을 ‘광대의 놀이’란 의미로 해석하면, 전통적인 재인(才人) 광대들이 노는 놀이를 지칭한다.

목차
정의
현대, 전라남도의 농악에서 일부의 뒤치배들이 탈을 착용하고 노는 해학적인 잡색놀이.
연원

전라남도 지역 대부분의 농악에서 주2 주3들의 놀이를 광대놀음이라고 말한다. 여기서 광대라는 말은 농악의 잡색패를 지칭하는 말이기도 하고, 잡색이 쓰는 탈을 지칭하기도 한다. 그런데 주4란 말은 원래 전북 지역과 전남 북부의 일부 지역에서 쓰는 용어이며, 전남의 대부분 지역에서는 광대놀음이란 말이 일반적이다. 이들 광대들은 대부분 탈을 착용하기 때문에 광대놀음은 탈놀이적 성격을 지닌다.

무라야마 지준[村山智順]이 1930년대 중반에 조사하여 1941년에 펴낸 『조선의 향토오락(朝鮮の鄕土娛樂)』의 전라남도 광주지역 편에는 ‘廣大遊び’라는 놀이가 있다. 이것은 정월에 농민들이 동물 모양의 탈을 쓰고 익살스런 몸짓으로 사람을 웃기는 것이라 설명하고 있다. 이 내용을 박전열은 번역본에서 ‘광대놀이’라 번역했으며, 최상수는 『한국의 세시풍속』(1969)에서 출전을 밝히지 않고 ‘광대놀음’이라 인용하고 있다. 그러나 전남에서 실시한 현지 조사에 의하면 광대놀음은 동물의 탈보다는 주로 다양한 인물의 탈이 등장한다는 점에서 보아 이것은 전남의 잡색인 뒤치배들이 노는 놀이 전체를 말한다.

한편 광대놀음을 ‘광대의 놀이’라 해석하면 다른 의미가 된다. 『고려사』에 이미 광대라는 용어가 나타나며, 조선시대 문헌에 “광대란 가면을 쓰고 놀이하는 사람”이라 규정하고 있다. 또한 조선 후기에는 줄타기하는 줄광대도 등장하고, 판소리 창자를 소리 주1라 지칭하며, 여기에 악사까지 포함시켰다. 따라서 조선 후기의 광대는 크게 연희 중심의 주5 광대와 판소리 중심의 소리 광대, 그리고 악사까지 포괄하는 용어이다. 이런 점에서 전통적 광대놀음이라 하면 재인 광대의 다양한 가면 및 주6, 그리고 전문 주7패인 주8주9의 여러 주10를 아우르는 용어가 된다. 이것은 전남 농악의 광대놀음과는 또 다른 의미를 지닌다.

방식

전라남도 화순과 담양 지역 농악의 광대놀이인 ‘영감 ‧ 할미놀이’ 부분은 영감과 할미가 탈을 착용하고 등장하며, 완도에서는 연행자가 누워서 발에 탈을 끼우고 재담 없이 놀리는 ‘발광대놀이’를 한다. 장흥군 유치면 지역의, 여러 마을 농악의 광대놀이는 양반, 각시, 할미, 주11), 영감, 창부, 포수 등이 등장하는데, 이 중에 양반, 영감, 할미, 각시 등이 주12을 쓴다. 이들이 주13을 하고, 우스갯짓을 하며 사람들을 웃긴다. 내용은 대체로 양반과 할미, 각시, 포수 등의 삼각관계를 다루고 있다. 그 외에 ‘도둑잽이놀이’, 주14’, ‘비비새놀음’이라 불리는 광대놀이는 여러 인물이 등장해서 해학적이고 풍자적인, 극적 행위를 보여 준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
『광해군일기』
유득공, 『고운당필기』 제3권
村山智順, 『朝鮮の鄕土娛樂』(조선총독부, 1941)

단행본

최상수, 『한국의 세시풍속』(홍인문화사, 1969)
정승모, 『한국의 농업세시』(일조각, 2012)

논문

박흥주, 『전라남도 해안, 섬지방의 풍물굿, 군고 연구』(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이경엽, 「전남의 민속극 전통과 광대(탈) 전승」(『전통문화연구』 12, 용인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2004)
이경엽, 「매구패의 광대놀이」(『남도민속연구』 5, 남도민속학회, 1999)
주석
주1

판소리에서, 성량이 풍부하여 창을 위주로 하는 광대. 아니리로 해야 할 부분을 창으로 처리하기도 한다.

주2

풍물놀이에서, 앞에 선 상쇠 가락을 뒤에서 받아치는 사람. 우리말샘

주3

풍물놀이 및 민속놀이에서 정식 구성원이 아닌, 놀이의 흥을 돋우기 위하여 등장하는 사람. 대포수, 창부 영감, 꼽추 따위로 풍물놀이 패를 따라다니며 춤을 추기도 하고 구경꾼과 잡담을 나누기도 한다. 우리말샘

주4

전라도 풍물놀이 판굿에서, 상쇠가 잡색들을 데리고 놀이판 가운데로 들어가 춤을 추는 놀이. 우리말샘

주5

재주가 있는 사람. 우리말샘

주6

사람이나 동물 모양으로 만든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일. 우리말샘

주7

여러 가지 기예를 닦아 남에게 보이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배우, 만담가, 곡마사와 같은 사람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8

남사당의 무리. 조선 후기부터 떠돌아다니며 노래와 춤, 풍물 연주, 갖가지 재주 부리기 따위를 일삼는 무리로서 본래는 독신 남성으로 이루어졌다가 1900년 이후에 여자가 끼게 되었다. 우리말샘

주9

진주 지방의 오광대패. 우리말샘

주10

여러 가지 잡스러운 장난이나 놀이. 우리말샘

주11

진실하고 미덥지 못한 중. 우리말샘

주12

바가지로 만든 탈. 우리말샘

주13

익살과 재치를 부리며 재미있게 이야기함. 또는 그런 말. 우리말샘

주14

전라 풍물놀이 판굿의 하나. 장구와 쇠를 든 농악꾼들이 원을 그리며 춤을 추고 교대로 전진 후퇴를 거듭하다가, 대포수가 장내로 나와 상쇠와 재담을 주고받는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