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포 ()

고려시대사
제도
992년(성종 11), 고려의 중앙 정부에서 개경으로 운송하는 세곡(稅穀)의 수경가(輸京價)를 지정해 주었던 60곳의 포구(浦口).
이칭
이칭
포창(浦倉)
제도/법령·제도
제정 시기
고려 전기
공포 시기
고려 전기
시행 시기
고려시대
폐지 시기
고려 말기
시행처
고려왕조
내용 요약

60포는 992년(성종 11년) 고려의 중앙 정부에서 개경으로 운송하는 세곡(稅穀)의 수경가(輸京價)를 지정해 주었던 60곳의 포구(浦口)이다. 가장 먼 곳은 경상도 지역의 나포(螺浦, 지금의 창원시 마산 합포구)와 통조포(通潮浦, 지금의 경상남도 사천군)이고, 가까운 곳은 한강 주변 지역이었다. 수경가는 지방에서 징수한 조세를 개경까지 옮겨 오는 댓가로 지불한 값을 일컫는다. 따라서 이 시기의 조세는 유력한 호족들의 협조 하에 그들의 선박을 이용하여 값을 지불하고 조세가 운송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정의
992년(성종 11), 고려의 중앙 정부에서 개경으로 운송하는 세곡(稅穀)의 수경가(輸京價)를 지정해 주었던 60곳의 포구(浦口).
제정 목적

고려 건국 이후에도 지방의 포(浦)와 진(津)에는 각기 강력한 힘을 가진 세력들이 존재하며 무역이나 상업 등에 종사하고 있었다. 따라서 고려 정부는 그들의 도움을 통해 지방에서 징수한 조세(租稅)를 운송해 와야 하였다. 이에 992년(성종 11)에 조세를 집송하는 포구(浦口) 60개를 지정하고, 각 포구에서 개경(開京)까지 운송하는 수경가(輸京價)를 법으로 정하였다. 60포(浦)는 12조창(漕倉: 후에는 13조창)이 설치되기 전까지 조창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내용

고려시대 조운(漕運) 제도는 12조창제(漕倉制) 혹은 문종(文宗) 연간에 안란창(安瀾倉)을 추가한 13조창제가 전형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런데 12조창제가 완성되기 이전인 고려 초기에도 전국의 주요 포구를 통하여 주2을 수납하고 운송하는 제도를 운영하였다. 60포의 존재는 바로 고려 초기 조운 제도 운영의 주요한 근거가 된다. 고려는 992년(성종 11) 한반도의 남해안과 서해안, 그리고 한강 수계에 위치한 60개 포구에서 개경으로 세곡을 운송하는 주3의 수경가를 정하였다. 그러므로 당시에는 60개 포구가 조운 제도 운영의 주요한 거점으로 기능하였다. 수경가가 정해진 포구가 60곳인 까닭에 60포라고 부르며, 60포는 사실상 조창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60개의 포구는 개경과의 거리에 따라서 수경가가 각기 다르게 설정되었다. 세곡 5석당 1석, 6석당 1석, 8석당 1석, 9석당 1석, 10석당 1석, 13석당 1석, 15석당 1석, 18석당 1석, 20석당 1석, 21석당 1석 등의 지역으로 구분되었다.

5석당 1석은 개경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경상도 남해안 일대의 포구 2곳에 설정되었으며, 6석당 1석은 전라도 남해안 지역과 주4와 원주(原州) 등 남한강 상류 지역의 포구 8곳, 8석당 1석 지역은 전라도 주5, 주6, 주7 등과 남한강 중류의 주8, 그리고 황해도 서해안 지역의 포구 7곳에 설정되었다. 9석당 1석은 전라도 서해안의 주9 이북 주10 이남 지역의 포구 등 8곳에 설정되었고, 10석당 1석은 한강 중류의 여주에서 주11 사이의 포구 11곳, 13석당 1석은 충청도 서해안의 주12주13 근방 지역의 포구 4곳, 15석당 1석은 경기도 화성(華城) 일대의 포구 3곳에 설정되었다. 18석당 1석은 경기도 주14와 광주, 주15 일대의 한강 포구 4곳, 20석당 1석은 서울 일대의 한강 포구 5곳, 21석당 1석은 경기도 주16주17 일대의 한강 포구 8곳에 설정되었다.

60개 포구 중 현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없는 곳도 일부 있으나 대체로 개경과의 거리, 운송의 난이도, 해운(海運)수운(水運)의 차이 등을 고려하여 수경가가 정해진 것으로 판단된다. 동일 거리를 기준으로 한강 수운의 수경가가 연안 해운의 수경가보다 더 비싸게 책정된 것은 선박의 적재량(積載量) 차이와 관련된 것으로 파악된다.

변천사항

『고려사(高麗史)』에는 국초부터 12개 조창이 운영되었다는 기록이 실려 있다. 그러나 992년에 수경가가 제정된 60포 중에는 12개 조창 중 9개 조창이 위치한 포구만이 포함되어 있다. 나머지 3개 조창은 당시에 조창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았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고려의 12조창제는 국초부터 완성된 형태로 운영된 것이 아니라, 992년 이후에 완성된 제도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12조창제는 성종(成宗)~ 현종(顯宗) 연간에 성립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60포를 통한 조운 제도가 12조창제로 단번에 변경된 것인지, 아니면 60포를 통한 조운 제도가 운영될 당시부터 12조창 중 일부가 이미 조창의 기능을 수행하다가, 점진적으로 60포의 조창 기능이 폐지되고 12조창제로 변화된 것인지에 대해서는 단언하기 어렵다. 12조창제가 성립된 후에도 60포 중 일부는 여전히 조운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을 가능성 역시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다.

의의 및 평가

고려 초기 60포를 통한 조운 제도는 고려의 12조창제(문종대 이후에는 13조창제)가 완비되기 이전에 운영되던 제도이다. 992년에 60포에 대한 수경가를 설정한 것은 세곡의 수납과 운송에 관여하는 모든 포구의 수경가를 중앙 정부가 일률적인 기준에 의하여 결정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갖고 있다. 이후 12조창제가 정착한 후에는 60포 중 일부만이 세곡 수납과 운송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기록상 60포 중 고려 13개 조창과 그 위치가 일치하는 지점으로 확인되는 곳은 모두 9곳이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단행본

문경호, 『고려시대 조운제도 연구』(혜안, 2014)
한정훈, 『고려시대 교통운수사 연구』(혜안, 2013)

논문

최완기, 「고려조의 세곡 운송」(『한국사연구』 34, 한국사연구회, 1981)
손홍렬, 「고려 조운고」(『사총』 21·22 합집,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1977)
丸龜金作, 「高麗の12漕倉に就いて」(『靑丘學叢』 21, 1935)
주석
주1

지방에서 징수한 조세를 개경까지 옮겨오는 댓가로 지불한 조운선의 운송 값을 일컫는다.

주2

나라에 조세로 바치는 곡식. 우리말샘

주3

물건을 실어 나르는 데 쓰는 배. 우리말샘

주4

충청북도 북부에 있는 시. 동쪽은 제천시, 서쪽은 음성군, 남쪽은 괴산군ㆍ경상북도 문경시, 북쪽은 경기도 여주시ㆍ강원도 원주시와 접한다. 동쪽에 충주호가 있으며, 중부에 충주 댐 전망대와 탄금대가 있다. 서쪽에 중부 내륙 고속 도로가 남북으로, 중부에 평택 제천 고속 도로와 충북선이 동서로 지난다. 1995년 1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중원군을 통합하여 도농 복합 형태의 시를 이루었다. 면적은 984.03㎢. 우리말샘

주5

전라남도 서남해 쪽에 있는 군. 영산강 하구 제방 공사로 주위의 만(灣)이 모두 호수가 되었다. 농산물이 주로 나며 영암 참빗이 유명하다. 명승지로 도갑사(道岬寺), 구림 왕인 박사 유적지(鳩林王仁博士遺跡地), 월출산 따위가 있다. 군청 소재지는 영암, 2020년 전라남도 영암군청 누리집을 기준으로 면적은 612.5㎢. 우리말샘

주6

전라남도 중서부에 있는 시. 동쪽으로 화순군, 서쪽으로 무안군과 함평군, 남쪽으로 영암군, 북쪽으로 광주광역시 광산구와 접한다. 전남평야의 중심지로, 쌀농사를 주로 하며 과수 농업과 원예 농업도 활발하다. 배가 유명하며, 동서로 영산강이 관통하며 흐른다. 서쪽에 나주 영상 테마파크가, 동쪽에 빛가람 호수 공원과 빛가람 전망대가 있다. 시 가운데를 동서로 1번 국도가 관통하며, 북쪽에는 호남선과 무안 광주 고속 도로가 지난다. 면적은 604.07㎢. 우리말샘

주7

전라남도 무안군의 중앙부에 있는 읍. 군청 소재지이다. 면적은 35.67㎢. 우리말샘

주8

경기도 한강 중류 분지의 중심에 있는 시. 쌀, 채소, 엽연초 따위의 농업과 도자기 제조 공업이 발달하였다. 명승지로 영릉(英陵), 신륵사 따위가 있다. 면적은 608.33㎢. 우리말샘

주9

전라남도 함평군에 있는 읍. 군청 소재지이다. 면적은 40.3㎢. 우리말샘

주10

전라북도의 서북부에 있는 시. 황해의 중요 무역항이며, 군산선의 종착역이다. 제지, 양조, 통조림 따위의 제조업이 활발하다. 금강, 백제 고탑, 월명산 따위의 명승지가 있다. 1995년 1월 1일 개편 때 옥구군과 통합되어 도농(都農) 복합 형태의 시를 이루었다. 면적은 681.42㎢. 우리말샘

주11

경기도의 중앙에 있는 시. 벼농사, 채소 재배, 가축 사육 따위가 활발하다. 명승지로 남한산성, 수어장대(守禦將臺), 숭렬전(崇烈殿), 현절사(顯節祠) 따위가 있다. 2001년 3월 광주군이 승격되어 이루어진 시이다. 면적은 431.02㎢. 우리말샘

주12

경기도 서남쪽 끝과 충청남도 서북쪽 끝 사이에 있는 좁고 긴 만. 조석 간만의 차가 심하며, 굴ㆍ조개 따위의 양식업이 발달하였다. 우리말샘

주13

충청남도 서북부에 튀어나온 반도. 천수만, 아산만, 남양만 따위에 면하고 있어 간석지가 많으며 곡물류, 담배 따위의 재배와 어업이 발달하였다. 우리말샘

주14

경기도의 중앙부에 있는 시. 논농사와 원예 농업ㆍ낙농업이 발달한 농촌 지역과 제조업 공장이 들어선 도시 지역이 공존한다. 명승고적으로 수락산, 팔당, 광릉 따위가 있다. 1995년 1월 행정 구역 개편 때 미금시와 남양주군이 통합하여 신설된 도농 복합 형태의 시이다. 면적은 458.1㎢. 우리말샘

주15

경기도 중앙에 있는 시. 1989년 1월 행정 구역 개편 때 광주군의 동부읍과 서부면을 통합하여 도농 복합 형태의 시를 이루었다. 면적은 93.04㎢. 우리말샘

주16

경기도의 중앙에서 약간 서쪽에 있는 시. 1기 신도시 가운데 하나인 일산이 위치해 있다. 쌀을 비롯한 농산물이 풍부하며, 서울 근교 농업지로서 원예 농업이 활발하다. 벽제관, 행주산성 따위의 명승지가 있다. 1992년 2월 1일 군에서 승격되었다. 면적은 268.05㎢. 우리말샘

주17

경기도 서부, 한강 하구에 있는 시. 김포평야에서 나는 김포 쌀이 유명하며, 채소 따위의 근교 농업이 활발하다. 문수산성(文殊山城), 장릉(章陵), 약사암 따위의 명승지가 있다. 면적은 276.606㎢.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