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계 ()

목차
불교
개념
같은 사찰에 거주하는 동갑 또는 비슷한 연령의 승려들이 조직했던 계조직. 동갑계.
이칭
이칭
동갑계(同甲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같은 사찰에 거주하는 동갑 또는 비슷한 연령의 승려들이 조직했던 계조직. 동갑계.
내용

동갑계(同甲契)라고도 한다. 갑계의 정확한 발생시기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유정(惟政)의 갑회문(甲會文)이 전해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 중기에는 이 계가 성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사찰계의 형태로는 신라 및 고려시대의 보(寶)가 있었고, 조선 후기 사원을 중심으로 조직되었던 계는 갑계 이외에도 어산계(魚山契)·미타계(彌陀契)·도종계(都宗契) 등 20여 종이나 되었다. 큰 사찰에는 10여 종 이상의 사원계가 동시에 조직되어 있기도 했다. 이 중에서도 계원이 승려만으로 구성되고 그 목적이 보사(補寺:사찰을 지원함)에 있었던 계로는 갑계·도종계·사종계(私宗契)·어산계 등이 있었지만, 갑계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사원에서 갑계 활동이 가장 활발하게 전개된 시기는 19세기 이후이다.

초기의 갑계는 계원 상호간의 친목을 주로 했지만, 18세기 후반 이후로는 사원의 보수가 주요 목적이 되었고, 19세기 후반 이후로는 사원 재산의 증식방법이 되기도 하였다.

계원의 구성은 동갑의 승려들로 구성되는 것이 원칙이었지만, 승려의 수가 많지 못한 사원의 경우는 6년차 정도의 비슷한 연령으로 구성하기도 하였다. 계원의 수는 10여 명으로부터 40여 명에 이르기까지 사원의 형편에 따라 달랐다.

갑계의 임원으로는 갑장(甲長)과 소임(所任)이 있었다. 소임은 실무담당자로 원금 관리와 대여, 징수 등의 사무를 담당하였으며, 1년에 한 번씩 윤번제로 교체하였다. 계금의 불입은 발족시 한꺼번에 내는 방법을 취했으며, 계의 존속 연한은 일정하지 않았지만 대개 5∼6년 정도였다.

현재 범어사(梵魚寺)에는 12기의 갑계 보사비(補寺碑)가 남아 있고, 통도사(通度寺)에는 2기가 있다. 이 두 절은 갑계 활동이 가장 활발했던 경우이다.

참고문헌

『조선시대사원경제연구(朝鮮時代寺院經濟硏究)』(김갑주, 동화출판공사, 1983)
「조선시대승려갑계(朝鮮時代僧侶甲契)의 연구(硏究)」(이재창, 『불교학보』13, 197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