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대수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호조좌랑, 예조정랑, 병조참의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면재(勉哉), 학안(學顔)
춘간(春磵), 한사(寒沙), 정와(靜窩)
이칭
강대진(姜大進)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91년(선조 24)
사망 연도
1658년(효종 9)
본관
진주(晉州)
출생지
합천
주요 관직
호조좌랑|예조정랑|병조참의
관련 사건
인조반정|정묘호란
정의
조선 후기에, 호조좌랑, 예조정랑, 병조참의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진주(晉州). 초명은 강대진(姜大進). 자는 면재(勉哉) · 학안(學顔), 호는 춘간(春磵) · 한사(寒沙) · 정와(靜窩). 강인수(姜仁壽)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강세탁(姜世倬)이고, 아버지는 사간 강익문(姜翼文), 어머니는 합천이씨(陜川李氏)로 이후신(李後臣)의 딸이다. 여러 대에 걸쳐 합천에서 살았다.

생애 및 활동사항

장현광(張顯光)의 문하에서 수학했으며, 1610년(광해군 2) 생원 · 진사시를 거쳐 1612년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세자시강원의 설서(說書) · 사서(司書)를 역임한 뒤, 이듬해 사간원정언이 되었다. 1614년 광해군이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죽이자 정온(鄭蘊)이 간언하다가 유배된 일이 발생하였다.

정온을 구하는 소를 올렸다가 평소에 반목하던 정인홍(鄭仁弘)의 모함으로 삭직당하고 회양에 유배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풀려나 영변부판관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고, 그 뒤 호조좌랑 · 예조정랑에 올랐다. 다음 해 사헌부 정언 · 지평 · 장령을 역임하였다.

1627년(인조 5) 1월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정경세(鄭經世)를 따라서 영남에 가서 의병을 모집하였으나, 3월에 청나라와 화친하자 돌아와 사간 · 주부를 지냈다. 1628년 병을 이유로 관직에서 물러났다가 1631년 홍문관부수찬 겸 경연검토관(經筵檢討官)이 되고, 이어 수찬 · 부교리 겸 경연시독관 · 군자감정(軍資監正)을 역임하였다.

1637년 부응교를 지내고 1639년 통정대부가 되었으나, 1641년 병을 이유로 관직에서 물러나 낙향, 진주에서 살다가 1644년 동부승지 겸 경연참찬관이 되고, 이어 우승지 · 병조참지 · 병조참의를 역임하였다. 1651년 전주부윤이 되어 1년 동안 지낸 다음, 관직에서 물러나 여러 차례에 걸친 임금의 소명에도 불구하고 관도에 오르지 않았다.

생시에 학문하는 사람들을 생각해 석천서재(石泉書齋)를 지었으며, 또 유학자들을 위해 이연서원(伊淵書院)과 덕곡서원(德谷書院)을 지었다. 합천의 도연서원(道淵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한사집(寒沙集)』 7권 3책이 있다.

참고문헌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인조실록(仁祖實錄)』
『효종실록(孝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집필자
이희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