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효실 ()

영화
인물
「죄와 벌」, 「한강은 흐른다」, 「울어도 부끄럽지 않다」 등에 출연한 배우.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932년
사망 연도
1996년
출생지
평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죄와 벌」, 「한강은 흐른다」, 「울어도 부끄럽지 않다」 등에 출연한 배우.
개설

평양 출생. 북한 최초의 극영화 「내 고향」(1949)의 감독인 무성영화 시대의 배우 강홍식(姜弘植)과 ‘눈물의 여왕’으로 알려진 여배우 전옥(全玉)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세이던 1950년에 평양국립극장 무대에 「맥베스」라는 작품으로 처음 올랐고, 1952년 극단 신협(新協) 단원으로 출연하면서 본격적인 연극 활동을 시작, 영화계에도 진출하였다. 한때 전진희란 예명으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1963년 극단 산하의 창립 단원으로 참여하고 국립극단 전속단원(1965)을 거쳐 다시 산하에 정착하였으며, 그동안 「대수양(大首陽)」(1959, 신협·민극 합동공연)·「죄와 벌」(1960, 신협)·「한강은 흐른다」(1962, 드라마센터)·「울어도 부끄럽지 않다」(1965, 국립극단)·「이민선」(1966, 국립극단)·「북간도」(1968, 극립극단)·「휘가로의 결혼」(1969, 실험극장)·「고독한 여우」·「부활」(1969, 배우극장)·「우리」(1970, 산하)·「페드라」(1970, 성좌)·「왕교수의 직업」(1970, 산하)·「사랑」(1971, 동랑)·「키브스의 처녀」(1972, 산하)·「약산의 진달래」(1974, 산하)·「새야새야 파랑새야」(1974, 산하)·「유리동물원」(1974, 산하)·「세일즈맨의 죽음」(1976, 산하)·「사랑하는 마리」(1977, 산하) 등 연극에 출연하였다.

영화로는 데뷔작인 「주검의 상자」(1956, 김기영 감독, 최무룡 공연) 외에「잃어버린 청춘」(1957, 유현목 감독)·「오 내고향」(1959, 김소동 감독)·「」(1959, 강찬우 감독) 등 6편 내외를 남겼으나 1960년대 이후에는 특별한 활동이 없었다.

이 밖에 「수정탑」(1957, 조남사 작, 민구 연출, 기독교 방송) 등 라디오 드라마와 텔레비젼 드라마가 다수 있다. 선이 뚜렷한 서구적인 마스크로 창작극보다는 번역극에서 적역을 만났다는 평을 들었다.

대표적인 연기로는 희랍의 비극을 현대 감각에 맞게 재현시킨 한국연극영화예술상 여자연기상 수상작 「페드라」에서 남편의 아들과 불륜관계에 빠진 계모 페드라 역이 꼽힌다. 남편이었던 배우 최무룡과의 사이에 같은 길을 걷는 아들 민수를 두었다.

상훈과 추모

1970년에 동아연극상 여자연극상을 받았으며, 1978년에는 제14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최우수연기상(「문기와 수미」)을 수상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