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공장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왕실과 정부 관서에 소속되어 각종 수공품을 제작하던 기술직 종사자.
이칭
이칭
관장(官匠), 관공장(官工匠)
제도/법령·제도
제정 시기
조선 초기
시행처
공조
주관 부서
정부 관서 및 군문
내용 요약

경공장은 왕실과 정부 관서에 소속되어 무기 제조와 궁궐 영건, 왕실에 진상하는 각종 수공품을 제작하던 장인층을 일컫는다. 조선 초 관제 개혁 과정에서 고려시대 사원 노비 중 일부와 왕실용 세공품을 제작하던 숙련공들을 경공장으로 편입시켰다. 또 지방 관아에서 뽑은 선상 노비 중 일부를 경공장으로 만들어 정부에서 필요로 하는 수공품을 제작하도록 했다. 조선 전기에는 30개 관청에 129종 2,795명의 경공장이 소속되어 있었으나 임진왜란 이후 경공장에 기반을 둔 수공업 제도는 점차 형해화되고 사장(私匠)을 고용하는 방식이 일반화됐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왕실과 정부 관서에 소속되어 각종 수공품을 제작하던 기술직 종사자.
내용

조선 전기에는 고려시대 소(所) 중심의 수공업 체제를 대신해 중앙과 지방에 각각 경공장과 외공장(外工匠)을 두어 중앙 정부와 지방 관아에서 필요로 하는 수공품을 조달했다.

왕실과 정부 관서에서 필요로 하는 수공품은 한성부(漢城府) 장적(匠籍)에 등록된 경공장이 맡아서 제작하였다. 그들은 고려시대부터 각 관서에 소속되었던 공장과 관 · 사노비(官私奴婢)들로 구성되었다. 여기에 지방에서 주3 노비 중 일부에게도 공장역을 부과했다.

그러나 차츰 양인(良人)으로 교체되어 조선 후기 경공장은 양인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조선 전기 경공장은 『경국대전』의 규정에 따르면, 30개 아문에 총 129종 2,795인이 소속되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그 가운데 어의류(御衣類), 내부(內府)의 재화(財貨)와 주1를 관장하는 상의원(尙衣院)에 68종의 공장 597인, 군기 제조를 관장하는 군기시(軍器寺)에 16종의 공장 644인이 속해 있었다. 이는 전체 경공장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는 것으로, 당시 경공장의 수공업 활동이 왕실 수요품과 각종 무기의 제작 위주였음을 알 수 있다.

경공장 중에서 취재(取才)에 합격하고 제조품이 우수하며 제작 경험이 많은 자는 종7품 이하의 체아직 공장(遞兒職工匠)이라 하여 소정의 녹봉을 받는 자도 있었다. 그러나 극소수로 제한되었고, 대부분은 아무런 보수 없이 2, 3교대의 공역일(公役日)에 관서의 수공업에 종사했으며, 공역 일수를 제외한 나머지 날짜에는 공장세(工匠稅)를 납부했다. 정부는 경공장들에게 수공품을 제작할 수 있는 주4공랑(公廊)을 빌려줬기 때문에 공역일을 제외한 날에는 서울 주민들의 생활용품을 제조, 판매하여 장세를 납부하고 생계를 유지하였다. 경공장은 국역 체제 하에 공장역을 지는 자들이었기 때문에 기술 개선을 통한 이익을 창출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왕실과 정부 관서에서 필요로 하는 수공품을 제작하던 주2은 점차 제작 의욕이 저하되어 제품의 품질 면에서 자유 수공업자인 사장(私匠)들의 것이 앞서게 되었다. 그리하여 연산군 때부터 사장을 기용하면서 관장제 수공업은 붕괴의 길을 걷게 되었다. 임진왜란 이후 대동법을 확대 시행하면서 정부에서 필요로 하는 수공품을 시장에서 조달하게 되자 국역 체제 하에 값을 지급받지 못하던 경공장들이 기술력을 바탕으로 서울 시전에 속해 물품을 제조하거나 군문에 속한 장인들이 군인들과 결탁해 난전을 열어 수공품을 제작해 이윤을 추구하기도 했다. 이에 조선 후기 관영 수공업제는 점차 주5 사장을 주6 해 쓰는 방식이 일반화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경국대전(經國大典)』

단행본

논문

강만길, 「조선전기朝鮮前期 공장고(工匠考)」(『사학연구』 12, 한국사학회, 1961)
김삼기, 「朝鮮後期 官營紙所의 變化」(『중앙사론』, Vol.17,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03)
김신웅, 「조선시대의 경공장과 외공장의 관계」(『산업경제연구』 12권 1호, 한국산업경제학회, 1989)
문영식, 『조선후기 山陵都監儀軌에 나타난 匠人의 造營活動에 관한 연구』(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임병훈, 「수공업산업(手工業生産)의 발전(發展)과 자본주의(資本主義) 맹아론(萌芽論)」(『동양학』 21,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1990)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선왕(先王)이나 선비(先妃)에게 올리는 추상존호를 새긴 도장. 우리말샘

주2

고려ㆍ조선 시대에, 관아에 속한 장인. 우리말샘

주3

골라 뽑아서 바치다. 우리말샘

주4

한곳에 가게를 내고 하는 장사. 우리말샘

주5

형식만 남고 가치나 의미가 없게 되다. 우리말샘

주6

남을 대신 보내어 부역이나 병역 따위의 공역(公役)을 치르게 함.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