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판. 반양장 204면. 원래 제목은 ‘조선의 청자(朝鮮の靑瓷)’로 1939년 일본 동경 보운사(寶雲舍) 동운문고(東雲文庫)에서 일문으로 간행한 것을 진홍섭(秦弘燮)이 ‘고려청자’로 번역하여 1954년 을유문화사에서 출간하였다. 뒤에 1977년 삼성문화재단에서 재간행하였다.
책머리에 진홍섭의 ‘역자 서’가 있고, 14편을 2부로 나누어 1부 ‘고려청자’에 1.청자란 무엇인가, 2.청자라는 명칭, 3.청자의 발생, 4.청자의 종류, 5.청자의 변천, 6.청자의 요지(窯地), 7.청자의 전세(傳世)와 출토, 8.청자의 감상이 수록되어 있다. 2부 부록에는 1.고려청자, 2.고려의 도자공예, 3.청자와의 양태정(養怠亭), 4.화금청자와 향각(香閣), 5.양태정과 향각, 6.고려도자와 이조도자로 나누어 편성하고 있다.
진홍섭의 ‘역자 서’에 “선생이 기세(棄世) 후 선생의 원고를 정리하여 『송도고적(松都古跡)』(1946)·『조선탑파(塔婆)의 연구』(1949)·『조선미술문화사총론』(1949)·『전별(錢別)의 병(甁)』(1958)·『조선미술사급미학론고(朝鮮美術史及美學論攷)』(1963) 등을 비롯하여 11책(冊)의 유저가 간행되는 가운데 ‘고려청자’라는 이름으로 발간했다.”라고 발간의 경위를 말하고 있다. 그리고 40년 전의 저술로 그 뒤에 새로운 자료가 첨가되고 해석이 달라지는 부분이 있어도 원문을 그대로 수록했다고 말하고 있다.
본문에서 고유섭은 청자는 청색의 자기란 뜻만이 아니요, 철염(鐵鹽)의 환원염(還元焰)에 의한 철록색 자기요, 청자를 ‘靑磁(청자)’ 등 여러 가지로 쓰고 있으나 ‘靑瓷(청자)’로 쓰는 것이 옛 맛이 난다고 말하고 있다. 청자의 종류는 가장 많고 널리 알려진 비색청자(翡色靑瓷)·상감청자(象嵌靑瓷)·백색퇴화문청자(白色堆花文靑瓷)·화청자(畵靑瓷)·진사청자(辰砂靑瓷)·화금청자(畵金靑瓷)·명관청자(名款靑瓷)로 나누어 그 실례를 설명하고 있다. 청자의 변천을 제1기 고려비색시대, 제2기 상감청자시대, 제3기 중국남북요헌효시대, 제4기 잡요시대로 나누고 있다.
고려청자에서 청자와(靑瓷瓦)와 화금청자, 조선의 도자기까지 청자의 연구 결과를 문헌을 주로 하여 고증하고, 그것을 해석하여 청자 연구의 새로운 초석을 마련하는 내용을 평이하게 서술하여 청자의 이해는 물론 한국의 문화를 이해하고 감상하는 지침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