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주반생기 ()

현대문학
문헌
1960년 양주동의 수필 「문학소년 시절」 · 「소년숙장」 · 「주연」 등을 수록한 수필집.
정의
1960년 양주동의 수필 「문학소년 시절」 · 「소년숙장」 · 「주연」 등을 수록한 수필집.
개설

A5판. 302면. ‘문·학·교단 40년의 회고’의 부제가 있다. 1960년 신태양사(新太陽社)에서 발간하였다.

편찬/발간 경위

이 수필집은 『신태양(新太陽)』에 ‘유년기’를 발표하고, 『자유문학(自由文學)』에 발표한 수필을 모아 신태양사에서 발간한 것이다. 후기(後記)에서 “모지(某誌) 편집자 모군이 내게 회상기 연재물을 써달라는 것을 섣불리 응낙한 것이 탈의 시초였다. 심상한 회억을 쓰기가 싱겁고 이왕에 쓸 바에는 내가 평생 즐기는 ‘시(詩)·문(文)’과 술을 중심으로 하여 보잘 것 없는 나의 반생의 자전(自傳)을 숫제 써 보려 했다.”고 그 동기를 밝히고 있다.

내용

수록한 수필은 모두 6부로 나뉘어져 있다. 제1부 ‘유년기’에 「문학소년 시절」·「소년숙장(熟長)」·「신문학에의 전신」·「금성(金星)시대」 등 18편, 제2부 ‘술’의 장에 「초음기(初飮記)」·「문(文)」·「주(酒)의 벗들」·「주연(酒緣)」·「학연(學緣)」·「종음기(縱飮記)」 등 19편, 제3부 ‘청춘백서’에 「나의 청춘」·「신혼기」·「정원초(情怨抄)성동의 아침」·「영동사(永導寺)의 좌담회」 등 19편, 제4부 ‘여정초’에 「여비도 없이」·「분실기」·「동해선에서」·「해어진 바지」 등 17편, 제5부 ‘학창기’에 「예과시대」·「대학시절」· 등 11편, 제6부 ‘교단 10년’에 「부임기」·「교단회고」·「연북록(硏北錄)」 등 10편, 모두 95편이 수록된 회고적 수필집이다.

『문주반생기』는 변영로의 『명정(酩酊) 40년』과 명정의 쌍벽을 이루고 있으나 「2. 술의 장」의 19편이 그 주가 되어 있다. ‘백주회(白酒會)·주우(酒友)·문우’ 등을 통해 특히 횡보(橫步: 염상섭)와의 주우를 재미있게 술회하고 있다.

“청자색 꽃병도 어느덧 깨어지고,『금성』도 폐간되고, 나는 그만 홀홀히 도동(渡東)하였다. 그 즈음 도향(稻香)나빈(羅彬: 나도향)과 사귀어 몇 번 몇 번 그와 조촐한 술자리를 같이 하였고, 횡보 염상섭(廉想涉)씨하고는 근 1년 동안 같은 방에 묵으면서 밤낮으로 술을 즐겼다. 뒤 이어 노산(鷺山)이은상(李殷相)과도 같은 방에서 몇 달을 곁들어 함께 지냈으나, 그는 술을 그리 즐기지 않으므로 다만 글의 벗이었을 뿐 술은 노상 상섭과 같이 하였다.”로 시작되는 ‘백주회’는 주류천하의 김삿갓의 멋을 지닌 문주의 여정이다.

참고문헌

『한국수필문학사(韓國隨筆文學史)』(장덕순, 새문사, 1985)
『수필문학론(隨筆文學論)』(구인환·윤재천·장백일, 개문사, 1973)
『명정사십년(酩酊四十年)』(변영로, 서울신문사, 195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