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자방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중기에, 훈련원봉사를 역임하였고,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으로 싸워 청주성을 탈환하였으나 금산성전투에서 전사한 무신 · 의병.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57년(명종 12)
사망 연도
1592년(선조 25)
본관
선산(善山)
주요 관직
훈련원봉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기에, 훈련원봉사를 역임하였고,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으로 싸워 청주성을 탈환하였으나 금산성전투에서 전사한 무신 · 의병.
개설

본관은 선산(善山). 할아버지는 생원 곽지정(郭之楨)이고, 아버지는 통정대부 곽언(郭諺)이며, 어머니는 나주 주1

생애 및 활동사항

무과에 주2하여 훈련원봉사(訓鍊院奉事)가 되었다.

그 뒤 옥천에 있던 중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향리의 장졸들을 모아 조헌(趙憲)의 휘하에 들어갔다. 의병장 조헌이 이끄는 향병(鄕兵) 1,700여명과 함께 보은을 거쳐 청주로 향하였다.

그곳에서 의병장 신간수(申簡秀) · 장덕개(張德蓋) 등과 승장(僧將) 영규(靈圭)가 이끄는 3,800여명의 군사와 더불어 왜군과 싸워 청주성을 탈환하는 데 크게 활약, 전공을 세웠으나, 금산성전투(錦山城戰鬪)에서 조헌과 함께 주3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송자대전(宋子大全)』
주석
주1

가계 : 국조인물고 권55, 곽자방 묘표.

주2

무과 급제 : 『만력무자문무방목(萬曆戊子文武榜目)』(국사편찬위원회[MF A지수532])

주3

금산전투에서 순국 : 국조인물고 권55, 곽자방 묘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