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암유집 ()

목차
관련 정보
여석보의 광암유집 중 권수면
여석보의 광암유집 중 권수면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여석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여석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938년 그의 손자인 영달(永達)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연구(柳淵龜)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탁영(李鐸英)과 손자인 영달·영범(永範) 등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08수, 서(書) 20편, 책(策) 1편, 권2에 서(序) 1편, 제문 10편, 부록에 유거차운(幽居次韻) 18수, 만사 21수, 제문 7편,행장·묘지명·묘갈명·기(記)·상량문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대개 산수·자연을 소재로 읊은 것이 많고, 공부하는 중에 학문적인 감회와 희열을 읊은 것도 있다. 서(書) 중 「답이사행(答李士行)」은 예설에 관한 문답으로, 연사(練祀)를 지낼 때 상복의 변제(變制)하는 절차에 관하여 답한 내용이다.

책 중 ‘문민지소욕천필종지운운(問民之所欲天必從之云云)’은 『서경』 중 「태서(泰誓)」 상편의 내용에 중국 주나라 문왕의 아들 무왕이 은나라의 폭군 주(紂)를 정벌하기에 앞서 여러 제후들에게 “하늘은 백성을 가엾게 여기고, 백성이 바라는 바를 하늘은 반드시 따른다(天矜于民, 民之所欲, 天必從之).”고 한 말을 인용하여, 민의에 따르는 정치를 할 것을 강조하며 시폐의 척결을 주장한 것이다. 또한, 하늘의 뜻을 받들어 백성을 자식과 같이 여기고 인의에 의한 도덕정치에 힘쓸 것을 강조하였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동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