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서관목활자 ()

목차
출판
개념
임진왜란 직후 교서관에서 사용된 목활자.
목차
정의
임진왜란 직후 교서관에서 사용된 목활자.
내용

인조 말기(17세기 중기)에 이르러 조정의 인쇄업무가 훈련도감에서 다시 교서관으로 돌아오자 훈련도감에서 활자 만들기·판 짜기·인쇄법을 경험한 장인들이 교서관으로 옮겨 인쇄업무에 종사하였다.

1648년(인조 26) 8월 이시방(李時昉)에게 반사한 목활자본인 ≪찬도호주주례 纂圖互註周禮≫의 발문에 의해 그 사실이 입증된다. 이 무렵부터 1668년(현종 9)에 사주갑인자(四鑄甲寅字)인 무신자(戊申字)가 주조되어 중앙관서의 금속활자 인쇄업무가 다시 부활되기까지 쓰인 나무활자를 총칭하여 일컫는다.

이 활자의 글자체는 을해자체와 비슷한 필서체에서 행서체에 미치고 있으며, 제작이 조잡한 편이다. 그 인본은 1656년(효종 7)의 ≪증보만병회춘 增補萬病回春≫을 비롯한 1657년 간행의 ≪정유식년사마방목 丁酉式年司馬榜目≫, 1658년의 ≪삼대가시전집 三大家詩全集≫ 등이 있다.

종래는 활자를 제작하여 인쇄한 곳을 밝혀내지 못하고, 글자체에 의해 ‘행서체목활자’라 하였다. 이 목활자는 임진왜란으로 중단된 교서관의 인쇄업무를 다시 시작하여 금속활자 인쇄의 부활로 이어준 점에서 인쇄문화사상 의의가 크다.

참고문헌

『찬도호주주례(纂圖互註周禮)』
『한국고인쇄기술사』(김두종, 탐구당, 1974)
『한국전적인쇄사』(천혜봉, 범우사, 1990)
집필자
권영옥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