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서자 ()

목차
관련 정보
주형
주형
출판
개념
조선시대 제14대 선조 때에 만들어진 활자.
목차
정의
조선시대 제14대 선조 때에 만들어진 활자.
내용

≪대학≫·≪중용≫·≪논어≫·≪맹자≫ 등 사서(四書)를 비롯한 ≪소학≫·≪효경≫ 등의 경서 국역본을 찍어내는 데 이용되었던 한자 및 한글활자이다.

이 경서의 국역본은 1588년(선조 21)부터 1590년 사이에 인출(印出:인쇄하여 펴냄.)되었는데, 그 인출에 사용된 글자가 언제, 어디서, 누구의 글씨를 바탕으로 주조되었는지는 기록이 없어 자세히 알 수 없다. 종래 이를 경진자(庚辰字)·방을해자(倣乙亥字)·한호자(韓濩字) 등으로 다양하게 불러왔지만, 그 모두가 정확한 고증을 거친 것은 아니었다.

그 중 경진자는 재주갑인자(再鑄甲寅字)와의 관계가 해결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실록의 기록에 의하면 동일한 활자 명칭이 내부(內府)에서 내려준 것을 비롯하여 평양에서 만들어 온 것, 공신도감(功臣都監)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 그리고 을해자와 함께 ≪무경칠서 武經七書≫를 찍는 데 사용한 것 등이 있어 복잡하다.

글자체는 을해자와 비슷하나 그보다 자양(字樣)이 균정하고 글자획이 예리하며 훨씬 예쁘다. 그런 까닭에 한 때 방을해자라 일컫기도 하였다. 한호자라고 명칭한 것은 당시 석봉(石峯) 한호의 글씨체가 유행하였기 때문에 선입견을 갖고 일컬은 듯하다.

한호 글씨의 <화담서선생신도비명병서 花潭徐先生神道碑銘並序>를 비롯한 그의 진적(眞蹟:친필)과 비교하여 보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활자는 오로지 경서의 국역본에만 보이고 사용되고 다른 주제 분야의 인본에서는 찾아볼 수 없음이 그 특징이다. 경서 국역본의 인출에 사용된 뒤 임진왜란으로 없어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활자

참고문헌

『선조실록』
『한국고인쇄기술사』(김두종, 탐구당, 1974)
『한국고인쇄사』(천혜봉, 한국도서관학연구회, 1976)
『새판 한국의 고활자』(손보기, 보진재, 1982)
『한국전적인쇄사』(천혜봉, 범우사, 1990)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권영옥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