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권자 ()

목차
관련 정보
이원길 개국원종공신녹권
이원길 개국원종공신녹권
출판
개념
조선전기 개국공신에 이어 원종공신들에게 내릴 녹권을 찍기 위하여 제1대 태조 연간에 만든 활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전기 개국공신에 이어 원종공신들에게 내릴 녹권을 찍기 위하여 제1대 태조 연간에 만든 활자.
내용

태조는 제일 먼저 공신도감(功臣都監)을 설치하고 그 해 8월 2일부터 녹권을 내려 논공행상(論功行賞)을 하였는데, 이들 녹권이 처음에는 필사되다가 1395년에 내려준 원종공신녹권부터는 목활자로 찍은 것도 나타나고 있다.

현재 전해지고 있는 것은 이원길 개국원종공신녹권(국보, 1989년 지정), 녹권 머리의 파손으로 받은 이의 이름을 잃은 것, 그리고 북한에 전래되고 있는 한노개(韓奴介)의 녹권이 알려지고 있는데, 이들은 모두 1395년에 인출된 것이다.

이들 녹권을 찍은 목활자를 ‘녹권자’라 부르며, 그 활자로 찍은 책은 ‘녹권자본’이라 부르고 있다. 활자가 조잡하게 만들어져 인쇄가 깨끗하지 않지만, 조선조에서 가장 오래된 현존의 목활자 인본인 점에서 그 가치가 크게 평가된다.

참고문헌

『태조실록』
『국보』-서예·전적-(천혜봉, 예경산업사, 1985)
「14세기 공신녹권을 중심한 조선 활자문화의 고찰」(최성기, 『문화유산』 3호, 평양, 1957)
『김천리원종공신녹권의 서지적 고찰』(천혜봉, 『한국비블리아』 제6집, 성균관대학교, 1984)
「의안백리화개국공신녹권에 관한 연구」(천혜봉, 『서지학연구』 제3집, 서지학회, 1988)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