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서관필서체자 ()

목차
관련 정보
기아
기아
출판
개념
조선후기 제18대 숙종 연간에 교서관에서 만든 활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제18대 숙종 연간에 교서관에서 만든 활자.
내용

1688년(숙종 14)에 인출(印出:인쇄하여 펴냄.)한 호곡(壺谷) 남용익(南龍翼)의 『기아(箕雅)』를 보면, 중간자와 작은자의 해정한 필서체 활자본으로, 초기의 인쇄인 듯 인본이 매우 깨끗하다.

이 책의 자서(自序:지은이가 책머리에 적는 서문)에서 ‘운각활자(芸閣活字)’라 하였고, 또 그의 문집인 『호곡집』에서 ‘운각주자’라 하였을 뿐 누가, 언제, 어떠한 재료로 만들었는지 기록이 전해지고 있지 않아 알 수 없다.

이 활자를 현재 남용익의 자서와 자저(自著)의 문집 기록, 그리고 활자의 글자체에 의해 ‘교서관(운각)주자’, 그 활자로 찍은 책을 ‘교서관(운각)필서체자본’이라 일컫고 있다. 그러나 활자의 재료에 대하여는 목활자설, 금속활자설, 그리고 최근에는 도활자설까지 제기되고 있다.

새로운 자료의 출현을 기다려 정확하게 고증되어야 할 것이지만, 교서관이 만든 일반적 크기의 상용활자이면서도 그 인본들이 숙종조 무렵으로 한정되어 있고, 당시는 목활자와 도활자까지 주자로 일컫기 시작했던 점 등을 고려하면 목활자본에 붙여두는 것이 좋을 듯하다.

그리고 교서관에서 목활자를 만들어 임진왜란으로 중단되었던 인쇄업무를 되찾은 초기(인조 말기∼효종)에 찍어낸 인본과 혼돈하기도 하는데, 같은 교서관 인본이라 하더라도 이때의 목활자본과는 그 성격이 전혀 다르다.

이 활자의 인본으로는 『기아(箕雅)』 이 외에 『위소주집(韋蘇州集)』·『유유주시집(柳柳州詩集)』·『도정절집(陶靖節集)』·『구문초(歐文抄)』·『유문초(柳文抄)』·『소문초(蘇文抄)』·『율곡선생문집(栗谷先生文集)』 등이 전해지고 있다. →활자

참고문헌

『한국고인쇄기술사』(김두종, 탐구당, 1974)
『새판 한국의 고활자』(손보기, 보진재, 1982)
『한국전적인쇄사』(천혜봉, 범우사, 1990)
「이조후기의 주자인쇄」(김원룡, 『향토서울』 7, 1959)
「이조후기활자본의 형태서지학적 연구 상」(백린, 『한국사연구』 3, 1969)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