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혼자 ()

목차
출판
개념
조선후기 의 문인 장혼이 사사로이 만든 소형의 필서체 목활자.
목차
정의
조선후기 의 문인 장혼이 사사로이 만든 소형의 필서체 목활자.
내용

그의 이름을 따서 ‘장혼자’ 또는 그의 호를 따서 ‘이이엄자’라 부르고 그 활자로 찍은 책을 ‘장혼자본’ 또는 ‘이이엄자본’이라 일컫고 있다.

그가 찍어낸 여러 책 중 1810년(순조 10)에 찍은 『몽유편(蒙喩篇)』이 최초의 인본인 듯하며 새겨 찍음이 정교하다. 장혼은 1790년(정조 14)에 교서관(校書館)의 사준(司准)에 임명된 바 있고 또 시와 서예에 능하여 여러 종의 저서와 편찬이 있다.

아마도 그의 이와 같은 활자인쇄의 경험과 문필에의 취미가 마침내 활자를 만들어 책을 찍어내게 하였던 듯하다. 이 활자는 그가 죽은 뒤에도 철종·고종 연간에 이르기까지 도교 서적을 비롯하여 문집, 의서(醫書) 등 많은 민간서적의 인출에 사용되었다.

민간이 만든 활자로는 소형이면서도 글자체가 정연하고 잘 만들어진 편이며, 한글활자도 정교롭게 만들어져 사용되었다.

그 인본으로는 『몽유편』·『시종(詩宗)』·『성령집(性靈集)』·『몽관시고(夢觀詩稿)』·『반포유고(伴圃遺稿)』·『연경편(演經篇)』·『태상감응편(太上感應篇)』·『관제보훈(關帝寶訓)』·『경선경(敬善經)』·『삼성제군충효경(三聖帝君忠孝經)』·『현화보란(玄化寶鸞)』·『개화대정(開化大程)』·『맥경(脈經)』 등 비교적 여러 종이 전래되고 있다.

참고문헌

『호산외사(壺山外史)』(조희룡)
『희조일사(熙朝逸事)』(장혼)
『한국전적인쇄사(韓國典籍印刷史)』(천혜봉, 범우사, 1990)
「근세조선후기활자인쇄본에 관한 종합적 고찰」(김두종, 『대동문화연구』 4집, 1967)
『朝鮮の板本』(前間恭作, 福岡 松浦書店, 1937)
집필자
권영옥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