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당사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지방에 파견한 외직(外職)의 하나.
목차
정의
고려시대 지방에 파견한 외직(外職)의 하나.
내용

구당은 본래 ‘임무(任務)에 당(當)한다’는 뜻으로, 994년(성종 13)에 처음으로 압록도(鴨綠渡)구당사를 두었던 것에서 그 기원을 찾아볼 수 있다.

기능을 보면 성종 때에 하공진(河拱辰)을 북방 변경에 보내어 압록의 구당사로 삼아, 낮에는 나가서 동쪽 물가를 감독하고 밤에는 들어와 내성(內城)에서 숙직하게 하였다는 기사로 미루어보아, 압록강 등 외국을 내왕하는 큰 강의 나루에 파견하여 도강(渡江)을 관리하고 경비하는 일을 맡아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뒤에는 탐라(耽羅 : 제주도)를 포함한 모든 나루터에 구당사를 두게 되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집필자
김기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