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촌집 ()

목차
관련 정보
구촌집
구촌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조병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1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조병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1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8권 4책. 석인본. 1961년 그의 아들 용기(龍基)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순명(權純命)의 서문과 권말에 정형택(鄭逈澤)·조용기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662수, 권2에 서(書) 51편, 권3에 기(記) 16편, 권4에 서(序) 16편, 발 4편, 명(銘) 1편, 고축(告祝) 6편, 제문 24편, 권5에 잡저 21편, 권6에 행장·가장 21편, 권7에 전(傳) 1편, 유사 4편, 묘지갈 3편, 묘표 3편, 천장(薦狀) 4편, 권8은 부록으로 가장 1편, 구촌기(龜村記) 3편, 구촌명(龜村銘) 1편, 천장 3편, 행장 1편, 묘갈 1편, 문생록(門生錄)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잡저 중에서 「전발시지설(全髮矢誌說)」은 1895년에 내린 단발령을 반대한 것으로, 부모의 유체(遺體)를 잘 보존하는 것이 효의 근본임을 주장하면서 “머리털을 깎을 바에야 차라리 머리가 잘리더라도 선비의 명분을 지켜야 한다.”고 자기의 뜻을 보인 글이다.

「성토이인이종각문(聲討李仁李鍾覺文)」은 동성혼을 주장한 이인(李仁)과 이종각(李鍾覺)을 성토한 글로서, 동성의 금혼은 유가의 기본정신이며, 곧 인간의 인간됨이 여기에서 비롯된다고 전제하였고, 이러한 도덕관념이 없는 것은 금수가 되는 길이니, 그것을 주장하는 사람도 금수와 같다고 하였다.

이밖에도 「구촌기」는 자기가 살고 있는 구촌에 대한 풍토와 인물을 묘사한 것이며, 천장은 효자와 열녀를 추천한 것이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박성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