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암문집 ()

목차
관련 정보
나익남의 국암문집 중 표지
나익남의 국암문집 중 표지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나익남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0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나익남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0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920년 후손 종환(鍾桓)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훈호(李熏浩)·박규환(朴圭煥)의 서문과 권말에 안유상(安有商)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은 부 1수, 시 7수, 소 3편, 서 7편, 서(序) 1편, 기 1편, 잠 1편, 명 1편, 발 1편, 제문 1편, 잡저 7편, 권2는 부록으로 세계도·연보·행장·묘갈명·묘지명·가장(家狀)·도산사우상량문(道山祠宇上樑文)·봉안문·상향문·봉강재중수기(鳳岡齋重修記)·향유통문(鄕儒通文)·도유답통문(道儒答通文)·정방백청증서(呈方伯請贈書)·정예조청증서(呈禮曹請贈書)로 구성되어 있다.

잡저인 「감술문(感述文)」은 그의 스승이었던 이전(李琠)이 세상을 떠나자, 심상삼년(心喪三年)을 마치고 스승의 은덕을 추모하면서 스승이 가르쳐주던 당시를 회고하여 감회를 적은 것으로, 당시 사제간의 깊은 의리를 나타낸 글이다. 「기천단고사(祈天壇告辭)」는 1595년(선조 28)에 왜적을 몰아내줄 것을 하늘에 기원한 글이다.

이밖에 「훈제손(訓諸孫)」은 자손에게 내린 훈계로, 면효우(勉孝友)·권독서(勸讀書)·절음주(節飮酒)·신언어(愼言語)·계폭노(戒暴怒) 등 다섯 가지로 되어 있다. 또한, 1626년 개성부교수(開城府敎授)로 나가 그곳 사림에게 공부에 힘쓰도록 가르친 「유개성사림문(諭開城士林文)」이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호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