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절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통정대부, 위장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단조(端操)
율정(栗亭)
시호
충숙(忠肅)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22년(세종 4)
사망 연도
1494년(성종 25)
본관
안동(安東)
주요 관직
통정대부|위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통정대부, 위장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단조(端操), 호는 율정(栗亭). 권중귀(權重貴)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권엄(權嚴)이고, 아버지는 권심(權審)이며, 어머니는 상호군(上護軍) 유계조(柳繼祖)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47년(세종 29)에 친시 문과에서 정과로 급제해 집현전에 들어갔고, 단종 때는 교리(校理)에 이르렀다. 평소 수양대군과 정분이 있어서, 잠저(潛邸)에 있을 때 찾아와 계유정난에 동참할 것을 권유했으나, 귀머거리로 가장해 참여하지 않았다.

그 뒤 세조가 왕위에 오른 뒤 통정대부로 발탁했으며, 원종공신(原從功臣) 2등에 책록되었다. 1459년(세조 5) 10월에 경기도 포천으로 왕이 사냥 갔을 때, 대장소종사관(大將所從事官)이던 권절은 "우상으로 하여금 왕방산(王方山)에 진을 치도록 하라"는 왕의 명령을 지체했다 하여 파직되었다.

그 뒤 세조가 여러 차례 관직을 제수했으나 광질을 구실삼아 정권에 참여하지 않다가, 성종 때 위장(衛將)으로 활동하였다. 단종을 향한 충절을 높이 평가해 후세 사람들은 생육신의 한 사람으로 남효온(南孝溫)을 대신해 말하기도 한다.

그 뒤 1698년(숙종 24)에 노산군(魯山君)을 단종으로 복위하고 묘호를 장릉(莊陵)으로 추증하면서 사육신과 생육신에 대한 평가도 새로워져, 1702년에 영월의 유학자 주황(朱璜) 등이 사육신을 배향하는 창절사(彰節祠)에 제향할 것을 상소하였다. 그 뒤 1704년 선산이 있는 양주에 서원 창건의 주장이 있기도 하였다.

1708년에 좌의정 이유(李濡)의 건의로 이조판서에 추증되었고, 1732년(영조 8) 영월의 육신사당 앞에 있는 팔현사(八賢祠)에 제향되었다. 1791년(정조 15)에는 결국 창절사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율정난고(栗亭亂稿)』가 있다. 시호는 충숙(忠肅)이다.

참고문헌

『세조실록(世祖實錄)』
『숙종실록(肅宗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대동기문(大東奇聞)』
『안동권씨대동보(安東權氏大同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