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정 ()

영월 금강정 전경
영월 금강정 전경
건축
유적
국가유산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보래산 아래쪽에 있는 조선전기 김복항이 세웠다고 전하는 팔작지붕 형태의 누정. 정자.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금강정(錦江亭)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누정
지정기관
강원특별자치도
종목
강원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1984년 06월 02일 지정)
소재지
강원 영월군 영월읍 금강공원길 136 (영흥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보래산 아래쪽에 있는 조선전기 김복항이 세웠다고 전하는 팔작지붕 형태의 누정. 정자.
개설

1984년 강원문화재자료(현, 강원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다.

1428년(세종 10)에 김복항(金福恒)이 세웠다고 하나 영월제영(寧越題詠)에 의하면 장정공(莊靖公) 이무(李堥)가 영월군수로 있을 때 금강의 아름다운 경치에 반하여 사재를 들여 정자를 짓고 금강정이라 하였다고 한다. 퇴계 이황이 안동에서 춘천으로 가던 중 금강정에 들러 지은 것으로 보이는 「금강정」이라는 시(詩)도 전하고 있다. 한편, 우암 송시열(宋時烈)도 1684년(숙종 10)에 금강정에 주위로 펼쳐지는 절경을 바라보며 『금강정기(錦江亭記)』를 썼다.

건축형식은 앞면 4칸, 옆면 3칸의 익공계(翼工系)의 겹처마 팔작지붕건물이다. 정자의 바닥은 우물마루이며 출입하는 칸을 제외한 나머지 칸에는 머름이 둘러져 있다. 정자 안에는 이승만(李承晩) 전 대통령의 친필인 ‘금강정(錦江亭)’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역사적 변천

김복항(金復恒)이 세운 이후 군수 이야중(李野重)이 무너져 버린 것을 다시 세우고, 1792년(정조16년)에 부사 박기정(朴基正)이 중수하였다고 한다.

1969년과 1976년에 단청을 다시 칠하는 등의 부분 보수를 하였다.

주위에는 낙화암(落花岩) · 민충사(愍忠祠) · 정조대왕태실비(正祖大王胎室碑) 등의 유물 · 유적이 있다.

의의와 평가

금강정 아래로는 푸른 동강이 흐르고, 그 앞에는 계족산과 태화산이 자리하여 영월 8경의 그림같이 아름다운 경치를 감상할 수 있는 곳에 세워져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금강정 주위에 비운의 왕 단종과 관련된 유적이 자리하고 있어 조선시대 대유학자들의 방문과 기록이 이어진 곳이라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허준구의 신(新)한시기행 37 영월 금강정」(『강원도민일보』 2004년 11월 23일자)
국가유산청(www.khs.go.kr)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