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와유집 ()

목차
관련 정보
채필훈의 금와유집 중 표지
채필훈의 금와유집 중 표지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채필훈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7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채필훈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7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활자본. 1947년 후손 봉기(鳳基)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건승(李建昇)·조긍섭(曺兢燮)의 서문과 권말에 서영곤(徐永坤)·최시교(崔峕敎)·채성원(蔡星源)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38수, 소(疏) 2편, 서(書) 31편, 권2에 서(序) 3편, 발 1편, 잡저 2편, 명(銘) 1편, 축문 5편, 제문 11편, 행록(行錄) 1편, 권3은 부록으로 만사·제문·가장후지(家狀後識)·묘갈명·묘지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는 고려 말 두문동(杜門洞) 72현(賢)의 한 사람인 그의 선조 귀하(貴河)의 서산서원(西山書院)에 사액을 청한 것과 경산(慶山)에 살았던 효자 여대익(呂大翊)에게 포상을 내릴 것을 건의한 것이다.

잡저의 「낙락옹설(樂樂翁說)」은 대구 팔공산에 들어가 은둔자락하는 심경을 서술한 것으로, 중국 동한(東漢) 중장통(仲長統)의 「낙지론(樂志論)」, 송나라 사마광(司馬光)의 「독락원기(獨樂園記)」와 주희(朱熹)의 「자락기락(自樂其樂)」 등을 따른 것이다.

집필자
권호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