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령왕비 금제 관식 ( )

무령왕비 금제 관식
무령왕비 금제 관식
공예
유물
국가유산
백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왕비의 금제 관식.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무령왕비 금제 관식(武寧王妃 金製 冠飾)
분류
유물/생활공예/금속공예/장신구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74년 07월 09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백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왕비의 금제 관식.
개설

1974년에 국보로 지정되었다. 501년에서 523년까지 재위하였고 525년에 매장된 무령왕과 529년에 매장된 왕비의 부부묘인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왕비의 금제 관식이다. 금제 관식은 연도 쪽을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한 왕비의 시상대의 머리 부분에 위치하였다. 이 금제관식과 더불어 금제방형판, 오각금판 8매, 그리고 머리장식으로 추정되는 은제 나선형 장식 2점이 함께 발견되었다.

구성 및 형식

무령왕비 금제 관식은 무령왕 금제 관식과 마찬가지로 팔메트와 연화문의 조합 모티프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세부 형식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인다. 왕의 관식은 비대칭으로 화염문의 형상을 하고 있는 반면, 왕비의 관식은 연화 한 송이가 피어나는 팔메트를 장식한 병을 중심으로 여러 가지의 팔메트가 완전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체 관의 부속물이 같지 않아 이 관식이 착장된 관의 모습은 왕과 왕비의 것이 다를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관련하여 왕과 왕비의 관식의 병부(柄部)가 다른 것이 주목된다. 왕 관식의 병부는 안으로 60° 정도 구부러지고 구멍이 있는 반면 왕비의 것은 쭉 뻗어 있고 구멍이 없으며 녹이 슬어 있다.

내용

왕과 왕비의 관식이 연화문과 팔메트의 식물문으로 구성된 것은 『삼국사기(三國史記)』고이왕(古爾王) 28년(261)조와 『신당서(新唐書)』 「동이전(東夷傳)」의 백제조에 등장하는 금화, 즉 오라관에 장식된 금꽃을 표현한 것이다. 왕비의 금식에는 왕의 것에는 없는 병이 등장하는데, 이는 인도 산치대탑이나 아마라바티탑에는 몸체가 풍만한 둥근 병에서 여러 가지의 연화가 피어 있는 연화현병(蓮華賢甁)에 그 연원이 있다. 물에서 서식하는 연화를 문양화한 연화문은 물이 가진 속성 즉 생명을 탄생시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연화의 생명 탄생의 개념이 시각적으로 도안화된 연화현병 모티프인데, 무령왕비의 관식은 바로 이 연화현병을 표현한 것으로 이해된다.

의의와 평가

무령왕비의 금제 관식은 왕비가 생전에 사용한 것이나 혹은 아들 성왕에 의해 새로 제작되어 부장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 무령왕비의 금제 관식을 통해 백제에서 왕과 왕비가 모두 금제 관식을 착용한 사실을 알게 되었다. 또한 무령왕비의 금제 관식에 표현된 연화화생의 모티프를 통해 무령왕대에 불교가 새롭게 신장된 사실이 파악된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참고문헌

『국립공주박물관』(국립공주박물관, 2019)
『문화재대관 국보 금속공예』(문화재청 동산문화재과, 2008)
『신라황금』(국립경주박물관, 2001)
『백제무령왕릉』(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1991)
『국보』 1-고분금속-(한병삼 편, 예경산업사, 1983)
『무녕왕릉』(문화재관리국, 1973)
『무령왕릉발굴조사보고서』(문화재관리국, 1973)
「무령왕릉 장신구의 국제적 성격」(이한상, 『무령왕릉과 동아세아문화』,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외, 2001)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