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근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중기에, 왜적의 침입을 예측하고 산성 수축을 건의하였다가 투옥되었으며,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을 일으켜 항쟁한 의병.
이칭
이신(而信)
대하재(大瑕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59년(명종 14)
사망 연도
1597년(성종 30)
본관
상산(商山)
출생지
단성(丹城: 지금의 경상남도 산청)
관련 사건
정유재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기에, 왜적의 침입을 예측하고 산성 수축을 건의하였다가 투옥되었으며,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을 일으켜 항쟁한 의병.
개설

본관은 상산(商山). 자는 이신(而信), 호는 대하재(大瑕齋). 단성(丹城: 지금의 경상남도 산청군) 출생. 아버지는 진사 김준(金浚)이며, 어머니는 강양이씨(江陽李氏)로 강인배(姜仁培)의 딸이다. 하항(河沆)에게 수학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91년(선조 24)에 장차 왜적이 난을 일으킬 것을 예측하고 방백(方伯)에게 편지로 산성을 수축할 것을 건의하였다가 민심을 동요시켰다는 죄목으로 투옥되었다. 이듬해 왜적이 침입하자 사람들은 모두 김경근의 선견에 탄복하였다.

조카 김응호(金應虎)와 함께 인근에 격문을 보내 창의(倡義)하여 적과 싸웠다. 초유사(招諭使) 김성일(金誠一)이 조정에 포상을 건의하였다. 정유재란 때 성묘하러 가던 중 왜적을 만나 끝까지 항거하다가 피살되었다.

왜적이 김경근의 의로움에 감복하여 나무에 '朝鮮國義士金景謹之屍(조선국의사김경근지시)'라고 써 놓았다. 1882년(고종 19) 사헌부감찰에 추증되었다. 저서로는 『대하재실기(大瑕齋實記)』 3권이 있다.

참고문헌

『단구지(丹邱誌)』
『대하재실기(大瑕齋實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