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귀영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중기에, 예조판서, 병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현경(顯卿)
동원(東園)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20년(중종 15)
사망 연도
1593년(선조 26)
본관
상주(尙州)
주요 관직
우부승지|춘천부사|대사간|예조판서|병조판서|우의정
관련 사건
임진왜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기에, 예조판서, 병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상주(尙州). 자는 현경(顯卿), 호는 동원(東園). 김숙춘(金叔春)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목사 김사원(金士元)이고, 아버지는 김응무(金應武)이며, 어머니는 성주이씨(星州李氏)로 이수관(李守寬)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40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1547년(명종 2) 알성 문과에 병과로 급제, 2년 뒤 예문관대교(藝文館待敎)로서 춘추관기사관을 겸해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다. 곧 홍문관으로 옮겨 정자·저작 등을 역임하고 홍문관박사가 되었다.

이어 부수찬·정언·수찬 등을 거쳐 1555년 김홍도(金弘度)·유순선(柳順善) 등과 사가독서하였다. 그 해 을묘왜변이 일어나자 이조좌랑으로 도순찰사 이준경(李浚慶)의 종사관이 되어 광주(光州)에 파견되었다가 돌아와 이조정랑이 되었다.

1556년 의정부검상(議政府檢詳)을 거쳐 사헌부집의로 재임 중, 명나라에서 사신이 오자 예관(禮官)으로 활약하였다. 1558년 홍문관전한(弘文館典翰)에 올랐다가 곧 승정원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로 옮겼으며, 이 때 경연에서 경기내의 농민 생활 안정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이어 우부승지를 역임하고 이듬해 이조참의로 전직되었으나, 사간원의 탄핵으로 다시 우부승지로 체직되었다. 그 뒤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춘천부사를 지냈고, 대사간·대사헌·부제학 등을 번갈아 역임하면서 군주의 공명정대한 처신과 윤원형(尹元衡) 첩자(妾子)의 허통(許通) 문제 등에 관해 활발한 언론을 하였다.

선조 즉위 후 도승지·예조판서를 역임하고, 병조판서로서 지춘추관사를 겸하였다. 1581년 우의정에 올랐고, 2년 뒤 좌의정이 되었다가 곧 물러나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가 되었다. 정여립의 모반사건 처리에 공이 있어 1589년에 평난공신(平難功臣) 2등에 책록되고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에 봉해진 뒤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으나, 조헌(趙憲)의 탄핵으로 사직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천도 논의가 있자, 이에 반대하면서 서울을 지켜 명나라의 원조를 기다리자고 주장하였다. 결국 천도가 결정되자 윤탁연(尹卓然)과 함께 임해군(臨海君)을 모시고 함경도로 피난했다가, 회령에서 국경인(鞠景仁)의 반란으로 임해군·순화군(順和君)과 함께 왜장 가토[加藤淸正]의 포로가 되었다.

이에 임해군을 보호하지 못한 책임으로 관직을 삭탈당했다. 이어 다시 가토의 강요에 의해 강화를 요구하는 글을 받기 위해 풀려나 행재소(行在所)에 갔다가, 사헌부·사간원의 탄핵으로 추국(推鞫)당해 회천으로 유배가던 중 중도에서 죽었다. 숙종 때 허적(許積)의 건의로 신원되었다.

참고문헌

『명종실록(明宗實錄)』
『선조실록(宣祖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국조방목(國朝榜目)』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