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삼광 ()

고대사
인물
남북국시대 때, 파진찬, 이찬 관등에 임명된 통일신라의 귀족 · 관리.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금관가야
주요 관직
나마|좌무우익부중랑장|사찬|파진찬|이찬
관련 사건
삼국통일전쟁
정의
남북국시대 때, 파진찬, 이찬 관등에 임명된 통일신라의 귀족 · 관리.
개설

고조부는 금관가야의 마지막 왕인 구형왕, 증조부는 무력(武力), 할아버지는 서현(舒玄)이며, 유신(庾信)의 6남 4녀 중 큰아들이다. 어머니는 태종무열왕의 셋째 딸 지소부인(智炤夫人)인데 동복 형제로 원술(元述)·원정(元貞)·장이(長耳)·원망(元望)이 있으며, 군승(軍勝)은 이복 형제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666년(문무왕 6) 4월나마(奈麻)로서 천존(天存)의 아들 한림(漢林)과 함께 당나라에 파견되어 좌무위익부중랑장(左武衛翊府中郎將)의 직을 받고 숙위(宿衛)하였다. 668년 6월당나라에서 사찬(沙飡)의 관등에 올라 있으면서 당나라 장수 유인궤(劉仁軌)를 따라 당나라 고종(高宗)의 고구려 정벌 칙지(勅旨)를 가지고 당항진(黨項津 : 지금의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에 도착하였다. 그 뒤 한동안 기록이 없어 자세한 것은 알 수 없으나 집안이 대대로 출장입상(出將入相 : 문무를 다 갖추어 將相의 벼슬을 모두 지낸다는 뜻)의 집안이었던 점이나, 아버지 유신이 당시 고구려 정벌군의 최고 사령관인 대당대총관(大幢大摠管)의 직책에 있었던 점으로 보아, 고구려와의 전쟁에서 크게 활약했으리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683년(신문왕 3)에 왕이 일길찬(一吉飡)김흠운(金欽運)의 딸을 왕비로 맞아들이게 되자 이찬(伊飡)문영(文穎)과 함께 그 집에 가서 가례(嘉禮) 날을 정하였다. 납채(納采 :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혼인을 정하는 의례)는 대아찬(大阿飡) 지상(知常)이 하였다. 이 때 관등은 파진찬(波珍飡)이었는데 뒤에 제2관등인 이찬까지 올랐다.

아버지의 휘하에서 고구려와 싸울 때 큰 공을 세워 사찬의 관등에 있던 열기(裂起)가 정치를 맡고 있던 그에게 군수(郡守)를 희망했으나 들어주지 않은 일이 있었다. 이에 열기가 기원사(祇園寺)의 승려 순경(順憬)에게 “그가 나의 청을 들어주지 않는 것은 아마 그의 아버지가 죽어 나를 잊은 모양인가 보다.”라고 말했는데, 뒤에 그가 이 말을 듣고 삼년산군(三年山郡)의 태수(太守)로 천거하였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삼국통일과 신김씨가문(新金氏家門)」(문경현, 『군사』2,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1)
「김유신가문의 성립과 활동」(신형식, 『이화사학연구』13·14합집, 1983)
집필자
문경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