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응하 ()

요동백 김응하 장군 묘비
요동백 김응하 장군 묘비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시대 후금정벌과 관련된 무신.
이칭
경의(景義)
시호
충무(忠武)
이칭
요동백(遼東伯)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80년(선조 13)
사망 연도
1619년(광해군 11)
본관
안동(安東)
출생지
철원
주요 관직
북우후
관련 사건
후금정벌
정의
조선시대 후금정벌과 관련된 무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경희(景義). 철원 출신. 고려의 명장 김방경(金方慶)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증 승지 김지사(金地四)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04년(선조 37) 무과에 발탁되었으나 처음에는 별로 인정을 받지 못하다가, 평소 김응하의 무장적인 재능을 아끼던 박승종(朴承宗)이 병조판서가 되자 비로소 선전관에 제수되었으나, 이듬해 여러 사람의 질시를 받아 파직당하였고, 1608년(광해군 즉위년) 박승종이 전라관찰사로 나가자 다시 기용되어 비장(裨將: 지방 사신을 따라다니던 관원)이 되었다.

1610년에 재차 선전관에 임명되었으며, 영의정 이항복에 의해 경원판관으로 발탁된 뒤 삼수군수(三守郡守)·북우후(北虞侯)를 역임하였다. 1618년(광해군 10) 명나라가 후금을 칠 때 조선에 원병을 청해오자, 부원수 김경서(金景瑞)의 휘하에 좌영장(左營將)으로 있다가 이듬해 2월 도원수 강홍립(姜弘立)을 따라 압록강을 건너 후금정벌에 나섰다.

그러나 명나라 군사가 대패하자, 3,000명의 휘하군사로 수만 명의 후금군을 맞아 고군분투하다가 중과부적으로 패배하고 전사하였다.

이듬해 명나라 신종(神宗)은 용전분투하다가 장렬한 죽음을 당한 데 대한 보답으로 특별히 조서를 내려 요동백(遼東伯)에 봉하였으며, 처자에게는 백금을 하사하였다. 조정에서도 전사를 가상히 여겨 영의정을 추증하였다.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해동명신전(海東名臣傳)』
『밀암집(密庵集)』
『송자대전(宋子大全)』
『용주유고(龍洲遺稿)』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이정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