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문 묘 ( )

목차
관련 정보
경주 김인문 묘 후면
경주 김인문 묘 후면
고대사
유적
문화재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장수 김인문의 무덤. 원형봉토분. 시도기념물.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장수 김인문의 무덤. 원형봉토분. 시도기념물.
개설

김인문묘는 1982년 8월 4일에 경상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이 무덤은 선도산(仙桃山)에서 남쪽으로 뻗은 능선상에 자리하며 동서 양측은 낮은 계곡을 이루고 있다.

내용

봉분은 원형봉토분으로 밑지름이 26m, 높이는 6.5m이다. 무덤 앞의 왼쪽에는 김인문묘비의 귀부(龜趺)가 남아 있다. 김인문묘비는 1931년 12월 경주 서악동 서악서원 보수 때 북쪽 축대석으로 발견되었다. 크기는 높이 약 63㎝, 너비 94.5㎝, 두께 18㎝로 화강암 재질이며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종래에는 태종무열왕릉 앞에 있는 두 개의 무덤을 두고 김인문묘와 김양(金陽)의 묘로 서로 혼동하여 그 주장이 달랐다. 그런데『삼국사기』열전 김양전과 김인문전에 각각 기록된 것처럼 김양묘는 태종무열왕릉에 가장 가까이에 있는 작은 딸린무덤〔陪葬〕형식으로 배치된 것이며, 김인문묘는 그보다 좀더 남쪽에 있으면서 약간 봉분이 크고 왼쪽에 묘비의 귀부가 남아 있다고 보는 것이 정설이다.

묘비의 절반 이상은 결손되고 마멸이 심해 글자를 알아보기 힘들다. 다만, 비면에 남아 있는 조문흥대왕(祖文興大王)·태종대왕탄미기공(太宗大王歎美其功)·공위부대총관(公爲副大摠管) 등의 글귀로 미루어보아 김인문묘비로 추정된다. 건립연대는 현존 비문에 나타나 있지 않다. 그러나『삼국사기』열전 김인문전에는 효소왕이 695년(효소왕 4) 10월 27일에 김인문을 태대각간(太大角干)으로 추증하고 경주의 서쪽 들판에 예로써 장례를 치렀다는 내용이 전하고 있어서 이 때 김인문의 무덤과 함께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경주 서악동에는 태종무열왕릉을 중심으로 김양묘와 김인문묘가 자리잡고 있는데, 당시 서원(西原)에는 김씨왕실의 장례지가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김인문이 유능한 왕족으로서 신라의 삼국통일에 큰 공훈을 세웠기 때문에 이곳에 성대하게 장례를 치른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동경잡기(東京雜記)』
『신라 금석문의 현황과 과제』(경주시 신라문화선양회·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23, 2002)
『고분연구』(강인구, 학연문화사, 2000)
「近時發見の新羅金石文」(末松保和,『新羅史の諸問題』, 東洋文庫, 1954)
「新羅金仁問墓碑の發見」(藤田亮策,『靑丘學叢』7, 1932)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선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