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 ()

목차
관련 정보
농어
농어
동물
생물
농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목차
정의
농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내용

한자어로는 노어(鱸魚)라고 하며, 서유구(徐有榘)의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에서는 ‘꺽정’이라 하였고, 정약용(丁若鏞)의 『아언각비(雅言覺非)』에서는 ‘농어(農魚)’라고 하였다. 그리고 정약전(丁若銓)의 저서인 『자산어보(玆山魚譜)』에서는 농어의 어린 물고기를 보로어(甫鱸魚) 또는 걸덕어(乞德魚)라 한다고 하였다. 학명은 Lateolabrax japonicus CUVIER et VALENCIENNES이다.

길이는 90㎝ 정도이며, 몸이 홀쭉하고 길며 전체적인 윤곽은 경쾌하다. 몸빛은 등쪽이 회청록색이고 배쪽은 은백색이나 어린 때에는 옆구리와 등지느러미에 검고 작은 점이 많이 나타나 있다.

비늘은 약간 작은 빗비늘이며, 입은 뾰족하고 아래턱이 위턱보다 약간 앞으로 돌출되어 있다. 가을이나 겨울에 기수(汽水)에서 산란하고, 어린 물고기는 봄과 여름에 담수계로 거슬러 올라와서 서식하다가 가을과 겨울에 다시 바다로 내려간다.

『자산어보』에서는 “큰 것의 길이가 1장(丈) 정도이고, 몸은 둥글고 길며 살찐 것은 머리가 작고 입이 크다. 비늘이 잘고 아가미는 이중으로 되어 있는데, 엷고 취약하여 낚시에 꿰이면 찢어지기 쉽다.”고 하였다.

또, 맛은 좋고 산뜻하며, 4∼5월에 나타나기 시작해서 동지가 지난 뒤에 종적을 감춘다고 하였고, 성질이 담수를 좋아하여 장마 때나 물이 넘칠 때 바닷물과 민물이 합치는 곳에 가서 낚시를 던지고 곧 끌어올리면 농어가 따라와서 낚시를 삼킨다고 하였다.

우리 나라 전국에 널리 서식하며, 『세종실록』 지리지에는 경기도에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함경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잡힌다고 하였다.

주요 어장으로는 압록강·대동강·한강·금강·영산강·낙동강 하구와 울산만 등이다. 그리고 흑산도에서도 많이 잡히는데, 크기가 하구의 것보다 작고 여위었으며, 맛도 못하다.

어구로는 과거에 연승(延繩:주낙)과 일본조(一本釣)를 많이 사용하였지만, 어전(漁箭)·건간망(建干網) 등으로 다른 물고기들과 함께 잡기도 하였다. 대체로 생선으로 팔고 소비하나 소금에 절여서 팔기도 한다. 오늘날에는 연승·유자망(流刺網)·정치망 등으로 잡고 있는데, 그 어획량은 많지 않다.

광복 후에는 1,000M/T 이하의 수준에 머무르는 때가 많았고, 1975년에 이례적으로 4,193M/T이 어획된 것을 제외하고는 거의 1,000M/T대에 머무르고 있다. 1997년도의 생산량은 1,501M/T이었다.

참고문헌

『자산어보(玆山魚譜)』
『해양수산통계연보』(해양수산부, 1998)
『한국어도보』(정문기, 일지사, 1977)
『한국담수산어류』(김인배, 태화출판사, 1974)
『한국수산지』 1(농상공부수산국, 1908)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박구병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