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비 ()

목차
관련 정보
청주 출토 순천김씨 의복 및 간찰 중 겹누비바지
청주 출토 순천김씨 의복 및 간찰 중 겹누비바지
의생활
개념
옷을 지을 때 겉감과 안감을 겹쳐 줄지어 바느질하여 표현하는 기법.
이칭
이칭
납의, 누비(縷飛), 누비(縷緋), 누비(樓緋)
내용 요약

누비는 옷을 지을 때 겉감과 안감을 겹치거나 사이에 솜을 넣어, 줄지어 바느질하는 기법이다. 누비는 방한, 보호, 호신, 장식 등의 용도로 사용하였다. 누비 간격에 따라 잔누비(세누비), 중누비, 드문누비로 나뉘며, 누빈 형태에 따라 오목누비, 납작 누비로 구분되고, 재봉 방법에 따라 홈질 누비와 박음질 누비로 나뉜다. 또한 솜의 첨가 유무로 완성된 옷을 솜 누비옷 또는 겹누비옷으로 구분한다.

목차
정의
옷을 지을 때 겉감과 안감을 겹쳐 줄지어 바느질하여 표현하는 기법.
내용

누비는 옷을 지을 때 겉감과 안감을 겹쳐 줄지어 바느질하여 표현하는 기법으로, 한자어로 ‘縷飛’, ‘縷緋’, ‘樓緋’로 기록되어 있다. 누비란 말은 승복(僧服)주1에서 비롯된 것으로 ‘납’은 기웠다는 뜻이다. 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수광(李粹光)『지봉유설(芝峯類設)』에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 입는 납의가 승가(僧家)에서 나온 것이라고 하였다. 조선 후기 실학자 정약용(丁若鏞)『아언각비(雅言覺非)』에서도 납의와 누비의 관련성이 확인되는데, 납의가 처음에는 승려들의, 기워 꿰맨 옷이 잘못 옮겨져 ‘누비(縷緋)’라 하면서 점차 깁지 않은 신포(新布)를 사용하는 것으로 변질되어 일반인들에게 퍼진 것이라 하였다.

누비로 지은 옷을 주4’이라고 하는데, 솜의 첨가 유무에 따라 겹 상태로 누빈 것을 겹누비, 겹 사이에 솜을 넣어 누빈 것을 솜 누비라 한다. 누비옷 중에는 솜을 두어 누벼준 솜 누비옷이 보편적이다. 누비를 할 때의 바느질 법은 주5로 누비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며, 편의에 따라 주6 누비 바느질법도 있다. 누비 기법에 따라서는 주7, 기계 누비, 직선 누비, 곡선 누비가 있다.

조선 후기 자료인 왕실발기(王室件記)에는 다양한 누비 명칭이 표기되어 누비, 주9, 주10, 주11, 주12, 세중(細中)누비, 잔누비[細樓緋][^20], 주14, 광누비(廣樓緋) 등의 기록이 있다. 이들 명칭은 누빈 형태에 따라 누비, 오목누비, 납작누비로 나뉘며, 누비 간격에 따라 잔누비(세누비), 중누비(세중누비), 드문누비(광누비)로 구분할 수 있다.

누빈 형태 중 ‘누비’는 솜을 둔 옷감을 곧은 선으로 완성하여 골이 생기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오목누비’는 겹으로 누벼진 바느질 선마다 안감 쪽에서 풀칠을 하여 다려 주어 골을 이루어 마치 주15처럼 입체적으로 나타난 형태이다. 납작누비는 옷감 사이에 주16을 얇게 두거나 겹 상태로 누벼 준 겹누비 형태를 말한다. 주17이 가장 완만한 형태로 나타난다. 복식학자 박성실은 누비옷 유물의 분석을 통해 누비 간격에 따라 잔누비는 0.5㎝ 내외, 중누비는 2㎝ 내외, 광누비(또는 드문누비)는 4.0~7.0㎝ 정도의 너비로 누벼진 옷으로 제시한 바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누비 간격은 솜의 두께와도 관련이 있어 솜을 두텁게 둘수록 누비 간격이 넓은 편이다.

누비의 용도는 방한용, 호신용, 보호용, 종교용, 장식용, 실용성 등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활용되었다. 가장 널리 사용된 것은 방한용 누비옷이다. 옷감의 보강이나 방한을 위한 실용적인 목적으로 누비옷이나 침구류에 주로 활용되었으며 곧은 선으로 완성하는 누비는 골누비 기법을 고수함으로써 우리나라 누비의 전통을 지켜 왔다.

누비옷을 완성하기까지는 홈질, 숨뜨기, 뒤땀질, 주19 등의 바느질법을 사용한다. 누비를 할 때 제일 먼저 하는 일은 옷감에 줄을 치는 일로, 천의 조직에 따라 줄을 그어 다림질로 꺾기도 하고 올을 튀겨서 하기도 한다. 이렇게 마련된 옷감을 누빌 때는 홈질을, 누빈 다음 천과 천을 붙여야 하는 경우 겉천에는 주2이나 박음질을, 안감을 붙일 때는 주3를 사용하며, 어떤 선을 고정시킬 때나 박음선을 모양으로 사용할 때는 상침을 하고, 처음 시작할 때와 마무리할 때는 뒤땀질을 사용한다.

참고문헌

원전

『지봉유설(芝峯類設)』
『아언각비(雅言覺非)』

단행본

국립문화재연구소, 『누비장』(민속원, 2007).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편, 『영릉 참봉 한준민 일가 묘 출토 유물』(민속원, 2013).

논문

박성실, 「누비소고」(『服飾』 14, 한국복식학회, 1990)
유선희, 『전통 누비 및 구성법 연구』(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이경민, 『조선 후기 오목누비 연구』(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이명은, 『궁중 발기에 나타난 행사 및 복식 연구』(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주석
주1

낡은 헝겊을 모아 기워 만든 승려의 옷. 우리말샘

주2

옷감 두 장을 포개어 바늘땀을 위아래로 드문드문 호는 바느질. 우리말샘

주3

동정이 들뜨지 않게 가장자리를 살짝 뜨는 일. 우리말샘

주4

누벼서 지은 옷. 우리말샘

주5

옷감 두 장을 포개어 바늘땀을 위아래로 드문드문 호는 바느질. 우리말샘

주6

바느질의 하나. 실을 곱걸어서 튼튼하게 꿰매는 것으로, 온박음질과 반박음질의 두 가지가 있다. 우리말샘

주7

옷감이나 옷 따위를 손으로 누비는 일. 또는 그런 물건. 우리말샘

주8

줄을 굵게 잡아 골이 깊은 바느질. 또는 그렇게 만든 두꺼운 솜옷이나 이불. 우리말샘

주9

줄을 굵게 잡아 골이 깊은 바느질. 또는 그렇게 만든 두꺼운 솜옷이나 이불. 우리말샘

주10

솜을 얇게 두고 넓게 누벼 납작하게 보이는 누비. 우리말샘

주11

누빈 줄의 간격이 중간 정도로 듬성듬성한 누비. 우리말샘

주12

누빈 줄이 촘촘하고 고운 누비. 우리말샘

주14

천과 천 사이에 솜을 넣고, 3cm 간격으로 줄이 지게 박는 바느질. 우리말샘

주15

암키와의 이음짬에 수키와를 덮어서 골이 지게 만든 기와. 우리말샘

주16

실을 켤 수 없는 허드레 고치를 삶아서 늘여 만든 솜. 빛깔이 하얗고 광택이 나며 가볍고 따뜻하다. 우리말샘

주17

옷을 만들기 위한 패턴에서 사용하는 선의 하나. 일반적으로 패턴은 필요 부분의 반쪽만 그리는데 그 중심선이 골선이 되며, 옷을 제작할 때 이 선에는 봉제선이 들어가지 않는다. 우리말샘

주19

박아서 지은 겹옷이나 보료, 방석 따위의 가장자리를 실밥이 겉으로 드러나도록 꿰맴. 우리말샘

주20

잘게 누빈 누비. 우리말샘

집필자
이명은(우리옷문화재연구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