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임씨 묘 출토복식 ( )

장흥임씨 묘 출토 복식 중 무명홑철릭
장흥임씨 묘 출토 복식 중 무명홑철릭
의생활
물품
17세기 전반기에, 생활했던 장흥임씨(長興任氏)의 묘에서 출토된 유물.
이칭
이칭
장흥임씨의복
물품
재질
면|무명
용도
염습의
소장처
광주역사민속박물관
제작 시기
17세기 전반
관련 의례
상례
내용 요약

장흥임씨 묘 출토복식(長興任氏 墓 出土服飾)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이였던 김덕령(金德齡, 1567∼1596) 장군의 조카며느리인 장흥임씨로 추정되는 묘에서 출토된 23점의 유물이다. 17세기 전반기로 추정되는 저고리 2점, 바지 2점, 철릭 1점, 직령포 1점과 염습 제구 17점이 출토되었다. 1980년에 '장흥임씨의복'이라는 명칭으로 의복 6점이 중요민속자료(제112호)로 지정되었으며, 2004년에는 염습 제구 17점을 추가로 지정하면서 '장흥임씨 묘 출토복식'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현재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정의
17세기 전반기에, 생활했던 장흥임씨(長興任氏)의 묘에서 출토된 유물.
연원

장흥임씨 묘 출토복식(長興任氏 墓 出土服飾)은 1971년에 전라남도 광주에서 장흥임씨라고 알려진 여자의 묘를 이장할 때 출토된 총 23점의 유물이다. 장흥임씨는 임진왜란 때 의병장이였던 김덕령 장군의 동생 덕보(德普)의 며느리로, 남편은 휘(諱)가 거취(璩醉), 자(字)가 휴서(休瑞)로 1593년생이라 한다. 관 속에서 철릭 1점, 두루마기형 누비포 1점, 저고리 2점, 바지 2점 등 의복류 6점과 멱건 1점, 주1 1점, 소매 2점, 주2 8점, 솜이불 1점, 솜버선 2점(1쌍), 미투리 2점(1쌍)의 염습 제구 17점이 출토되었다. 주9의 생존 시기는 그간 축적된 선행 연구를 통해 철릭의 주름 양식과 소매 형태를 보았을 때 17세기 전반기로 추정 가능하다.

1980년 4월 1일에 '장흥임씨의복'이라는 명칭으로 의복 6점이 중요민속자료(제112호)로 지정되었으며, 이후 관계 전문가가 추가 지정 조사를 실시하여 지정 명칭 변경과 세부 유물 명칭을 정정하고 2004년 9월 25일 염습 제구 7종 l7점을 추가로 지정하면서 '장흥임씨 묘 출토복식'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국가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현재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장흥임씨 묘 출토복식은 철릭과 주3형 저고리, 주11 바지 등으로 모두 남성 의복이 출토되어 묘주의 실제에 대해 재고의 여지가 있는 사례이다.

형태와 용도

의복류

장흥임씨 묘 출토복식은 모두 6점이다.

철릭[帖裡]은 1점 출토되었다. 철릭은 상의(上衣)와 하상(下裳)을 따로 구성하여 허리에서 주름잡아 연결시킨 형태의 포다. 백관이 융복(戎服)이나 관복의 주12, 혹은 일상적인 겉옷으로 착용하였다. 장흥임씨 묘 출토 철릭은 무명으로 만든 홑 철릭이다. 깃 모양은 칼깃형이며, 소매는 왼쪽 소매 탈착식으로 되어 있으며, 모양은 진동에서 사선으로 내려오다가 완만하게 일자로 뻗은 형태로 전형적인 17세기 전반기 양식이다. 옷 크기는 길이 127(上48.5, 下78.5)cm, 주10 117cm, 품 50cm이다. 상하 비율이 1:1.61이고 허리 주름이 1.5cm 내외로 넓게 잡혀 있는 등 전체적으로 17세기 양식이다.

두루마기형 누비포 1점은 겉깃이 칼깃이고, 옆이 막혀 있는 두루마기형 포인데, 겉감은 삭아서 없어졌으며 무명 안감이 겉으로 뒤집혀서 보관되어 있었다. 깃모양과 옆선의 형태로 보아 남성용으로 추정되는 옷이다. 크기는 길이 117㎝, 화장 122㎝, 뒤품 54㎝이며, 4~4.5㎝ 간격으로 누빈 흔적이 남아 있다.

저고리는 2점으로, 모두 별다른 장식성이 없고 겉깃 모양이 칼깃형의 남성용 저고리 형태를 하고 있다. 무명으로 만든 솜저고리와 주4이 있다. 솜저고리는 출토 당시부터 옷감을 덧대어 기운 부분이 많이 있어 실제로 입었던 옷임을 확인 시켜 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뒷길이 72cm, 화장 95cm, 뒷품 52cm의 크기이다. 홑적삼으로 옆선 아래쪽에 트임을 주었으며 전체적인 크기가 솜저고리보다 작다.

바지는 사폭 바지 2점이 출토되었다. 사폭 바지는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유행하기 시작한 전형적인 남성용 바지이다. 솜옷과 홑옷이며, 모두 무명으로 만들었다. 솜바지는 길이 83.5cm로 전체적으로 크기가 홑바지보다 큰 편이다. 바지 2점 모두 중앙에 맞주름을 잡아 허리말기를 달아준 방식이 특이한데 임진왜란 시기까지 입었던 단속곳형 바지에서 완전한 사폭 바지 형태로 변화되는 과도기의 형태로 추정된다.

염습 제구

염습 제구는 7종 l7점이 출토되었다. 종류는 멱건, 멱목, 소매 2점, 교포 8점, 솜이불 1점, 솜버선 2점(1쌍), 미투리 2점(1쌍)이다. 이 가운데 머리를 싸준 멱건의 경우, 머리에 쓰는 모자 형태와 달리 앞이 짧고 뒤가 긴 직사각 형태의 건(巾) 형태이다. 미투리는 바닥이 2날로 되어있으며, 소매 2점은 남성용 포의 소매 형태를 하고 있다.

변천 및 현황

장흥임씨 묘 출토복식은 문화재 지정 당시 1500년대 후반기로 연대 추정을 하였고, 후손의 증언으로만 묘주를 장흥임씨로 추정하였다. 하지만 수십 년 동안의 출토 사례와 학술 성과로 묘주의 생존 시기와 묘주 실제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첫째, 장흥임씨 묘 출토복식의 연대가 1600년대 전반기로 추정되는 점이다. 장흥임씨 묘 출토복식에서 시대 추정이 가능한 부분은 철릭의 상의보다 하의가 길게 되어 있으며 허리선은 넓은 간격으로 주름이 잡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소매 형태는 길이가 길고 진동에서 사선형으로 커지다가 완만한 일자형으로 이어지다가 소매 끝 모서리가 둥글게 된 모양이다. 특히 소매 형태는 성급(成汲, 1553~1621), 이응해(李應獬, 1547~1626), 김확(金矱, 1572~1653), 신경유(申景裕, 1581~1633) 등 17세기 전반기 분묘 출토품에서 대표적으로 나타난 소매 형태인데, 1600년대 중반기에는 이 보다 소매 폭이 넓어지고 1600년대 후반에 주5의 두리 주6 형태로 변화된다. 따라서 장흥임씨 묘 출토복식은 17세기 전반기 시기의 것으로 추정 가능한 것이다.

둘째, 철릭, 칼깃형 저고리, 사폭 바지 등 모두 남성 복식으로 특정되는 의복이 출토되어 실제 묘주의 성별과 묘주의 실제에 대해 의문이 제기된다. 여전히 장흥임씨의 복식으로 추정하는 근거는 17세기 전기에 주7의 소용돌이 속에서 변복 풍습이 나타난 장속(葬俗)과 여성용 칼깃 저고리 착장설 등에 근거한다. 그러나 출토 당시의 염습 상태가 확인되지 않았으며, 현재까지 출토 사례 중에서 17세기 전기의 여성 분묘에서 출토된 칼깃 저고리의 형태는 깃, 끝동, 주8 등이 색의 변화를 주었고 옆선에 무를 장식한 특징이 있기 때문에 장식성이 없는 남성용 칼깃 저고리와는 차이를 보인다.

이상과 같이 장흥임씨 묘 출토복식 사례는 여전히 묘주의 실제를 특정하기 어려운 점이 있는 등 해결되지 못한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원전

『상례비요(喪禮備要)』

단행본

광주광역시, 『문화재도록』(광주광역시, 1999)
문화재청, 『중요민속자료 추가보고서』(문화재청, 2004)
문화재청, 『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 2-』(문화재청, 2006)

논문

안명숙·이미식, 「장흥임씨 출토의복 보수(補修)에 관한 연구」(『服飾』 54-8, 한국복식학회, 2004)
안희균 외, 「중요민속자료 제112호 장흥임씨 수의류의 보존처리」(『보존과학연구』 6, 국립문화재연구소, 1985)
이은주·송미경, 「17세기 여자 수의용 칼깃 저고리 사례와 사용 원인에 대한 시론적 고찰」(『한복문화』 16-3, 한복문화학회, 2013)
주석
주1

운명한 다음 날, 시신에 수의를 갈아입히고 이불로 쌀 때, 시체의 얼굴을 싸매는 헝겊. 천으로 네모지게 만드는데, 겉과 안을 흰색으로 하거나 겉은 검은빛, 속은 남색으로 하기도 하며 네 귀에 끈을 매단다. 우리말샘

주2

염습할 때에 시체를 묶는 베. 우리말샘

주3

양복 깃의 하나. 깃 이음선의 벌림 사이가 매우 좁고 깃 벌림선이 위로 치들렸다. 우리말샘

주4

홑겹으로 된 적삼. 우리말샘

주5

통이 넓은 소매. 우리말샘

주6

한국 전통 소매 중 직선 배래의 하나. 소매통이 넓으며 소맷부리의 위에서 18~22cm가량 터지고 아래로는 막힌 모양이다. 우리말샘

주7

전쟁으로 인한 난리. 우리말샘

주8

저고리나 두루마기 따위의 깃 아래쪽에 달린 길쭉한 헝겊. 우리말샘

주9

무덤의 주인. 우리말샘

주10

저고리의 깃고대 중심에서 소매 끝까지의 길이. 우리말샘

주11

남자의 한복 바지나 고의에서, 허리와 마루폭 사이에 잇대어 붙이는 네 쪽의 헝겊. 큰사폭과 작은사폭의 구별이 있다. 우리말샘

주12

겉옷 안에 끼어 입은 옷. 우리말샘

집필자
이명은(우리옷문화재연구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