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대 ()

목차
관련 정보
의생활
물품
왕실에서 쓰이던, 왕과 왕세자의 저고리 명칭.
이칭
속칭
저고리
이칭
동의ᄃᆡ, 동의대(彤衣襨), 동의대(同衣襨), 동의대(胴衣襨)
내용 요약

동의대(胴衣襨)는 왕실에서 쓰이던, 왕과 왕세자의 저고리를 높여서 부르는 말이다. 위에는 동의대를 입고 아래에는 봉지를 입었다. 왕실발기에 소창의에 해당하는 장의대(長衣襨)라는 옷이 동의대와 함께 기록된 것에서 동의대가 저고리임을 알 수 있다. 왕실의 발기에는 대부분 한글 명칭 ‘동의ᄃᆡ’로 기록되어 있으며, 한자어 ‘彤衣襨’, ‘同衣襨’, ‘胴衣襨’도 일부 있다. 일반 왕자는 ‘동의복’ 또는 ‘저고리’로 표기하여 차별을 두었다.

목차
정의
왕실에서 쓰이던, 왕과 왕세자의 저고리 명칭.
연원

동의대(胴衣襨)는 왕실에서 왕과 왕세자의 저고리를 특별히 높여서 부른 명칭으로, 왕실의 발기에는 대부분 한글 명칭 ‘동의ᄃᆡ’로 기록되어 있으며, 한자어 ‘彤衣襨’, ‘同衣襨’, ‘胴衣襨’가 일부 있다. ‘의대(衣襨)’는 “임금과 왕세자의 옷”을 가리키는 말이며 여기에 저고리 소매를 뜻하는 ‘동’이 결합되어 동의대가 왕과 왕세자의 저고리를 가리키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옷은 왕실 발기소창의에 해당하는 장의대(長衣襨)라는 옷이 동의대와 함께 기록된 것에서 동의대가 저고리임이 확인된다. 왕자의 저고리는 ‘동의복’ 또는 ‘저고리’라 하여 동의대와 차별을 두었다. 신분에 따른 명칭의 차이는 정례화된 것은 아니어서 왕실 발기류에 기록된 것이 대부분이며 왕실 제도가 사라지면서 이러한 명칭도 쓰이지 않게 되었다.

변천 및 현황

왕실 발기류에는 헌종, 고종, 순종 등에게 올린, 동의대에 관한 기록이 있으며, 사용된 옷감은 장원주(壯元紬), 주1, 광수사(廣水紗), 주3, 주4 등으로 주6 직물과 주5이 많이 사용되었다. 동의대에 사용된 색상은 옥색, 보라색, 분홍색 등이 있으며 동의대의 구성은 주8, 주7, 주9 옷, 주10 옷 등 다양성을 보인다. 일반인의 저고리와 비교했을 때 동의대의 소재와 구성은 비슷한 정도이나 왕과 왕세자가 입은 동의대는 귀한 소재와 구성법의 다양성과 섬세한 바느질법이 적용되었을 것을 추정된다.

동의대의 대표적인 유물로 국가민속문화재인,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영친왕 일가 복식 및 장신구류 중에서 영친왕 저고리가 동의대에 해당한다.

왕실 발기 중 『壬午二月千萬歲東宮媽媽嘉禮時衣襨件記』(1882)는 여덟 살에 혼례를 한 순종의 첫 번째 가례주12으로 모두 한자로 기록된 것이다. 이 물목에 동의대를 ‘彤衣襨’로 표기하였는데, ‘彤’이 붉은색을 뜻하기 때문에 저고리의 주13에 붉은 소매를 붙인 형태로 추정되는 명칭이다. 이러한 형태의 옷을 ‘동다리저고리’라 부르는데, 이는 나이 어린 세자를 배려하여 마련한 옷으로 추정된다.

착장자의 신분 변화로 동의대의 명칭이 달라진 것을 볼 수 있는데, 영친왕의 경우, 1904년 영친왕의 생신 관련 발기에는 ‘동의복’과 ‘동의ᄃᆡ’가 혼용되어 쓰였으나, 1906년 이후에는 ‘동의대’라고 칭하였다. 이는 영친왕이 왕위 계승자로 인정되었기 때문에 일반 주14와 구별했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참고문헌

논문

이명은, 『궁중 발기에 나타난 행사 및 복식 연구』(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황유선, 『조선시대 저고리류 명칭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주석
주1

품질이 좋은 비단. 얇고 성겨서 여름 옷감으로 많이 쓴다. 우리말샘

주2

수은으로 된 주사(硃沙). 흔히 주묵(朱墨)이나 약제 따위로 쓴다. 우리말샘

주3

‘수아주’의 원말. 우리말샘

주4

연사(鍊絲)로 얇고 성기게 짠 비단. 우리말샘

주5

생사로 성기게 짠 얇고 가벼운 천. 우리말샘

주6

평직으로 된 비단. 우리말샘

주7

안에 솜을 두어 만든 옷. 우리말샘

주8

솜을 두지 않고 거죽과 안을 맞붙여 지은 옷. 우리말샘

주9

누빈 줄의 간격이 중간 정도로 듬성듬성한 누비. 우리말샘

주10

누빈 줄이 촘촘하고 고운 누비. 우리말샘

주12

물건의 목록. 우리말샘

주13

옷의 옷깃와 소매를 제외한 몸통 부위. 앞면 부분을 앞몸판, 뒷면 부분을 뒷몸판이라고 한다. 우리말샘

주14

왕자와 왕녀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집필자
이명은(우리옷문화재연구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