눌옹문집 ()

목차
관련 정보
송석충의 눌옹유사 중 표지
송석충의 눌옹유사 중 표지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학자, 송석충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93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학자, 송석충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93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불분권 1책. 목판본. 1693년(숙종 19)송응망(宋應望)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굉(金宏)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응망의 발문이 있다.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소재 영모각(永慕閣) 등에 있다.

유사 1편, 세계 1편, 사실(事實) 1편, 유문 1편, 정지교부계회도(情志交孚契會圖) 1편, 영정(影幀) 1매, 묘갈명·행장·서술(敘述)·계회도지(契會圖識)·증별시(贈別詩)·만사·제문·상향축문(常享祝文)·고유문·환안문(還安文)·사우록(師友錄)·통유문(通諭文)·유묵 각 1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가군수서(書家君手書)」는 강경우(姜景愚)가 팔분전체(八分篆體)로 쓴 글이고, 황극론(皇極論) 가운데 「추우시(騶虞詩)」는 대방전체(大方篆體), 「추우찬(騶虞贊)」은 현침전체(懸針篆體), 「추우송」·「추우가」·「추우행」은 팔분체(八分體)로 썼는데 필법이 단아하고 극묘하다.

「전등여화발(剪燈餘話跋)」과 「경직도기팔분서지(耕織圖記八分書識)」는 중국 이정창(李楨昌)의 「전등여화발」과 왕증(王曾)의 「경직도기」를 팔분체로 쓴 것이다.

「계회영정(契會影幀)」은 김굉필(金宏弼)·최보(崔溥)·송석충·박담손(朴聃孫)·신희연(申希演) 등 다섯 사람의 영정을 판각한 것이다. 「사우록」에는 김굉필의 문인으로서 당시에 이름난 인사들의 명단이 망라되어 있어 그 학문과 교유의 범위를 알게 한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