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권 4책. 목활자본. 1895년(고종 32)에 예손(裔孫)인 정수(定洙) 등이 유고를 수집, 1934년에 간행하였다. 권두에 종손 도복(道復)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예손 정수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4에 부(賦) 1편, 시 392수, 소 1편, 권5에 서(書) 75편, 권6·7에 서(序) 3편, 기 2편, 상량문 3편, 축문 8편, 제문 18편, 행장 4편, 유사 2편, 부록으로 행장 1편, 묘갈명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소 중 「응지소(應旨疏)」에서는 삼정(三政)의 폐단을 지적하고 그 시정을 촉구하였다.
시 중 「문가산수우적입근감탄유부사수(聞嘉山倅遇賊立慬感歎有賦四首)」는 가산수(嘉山倅)정시(鄭蓍)가 군(郡)에 부임한 지 얼마 되지 않아 홍경래(洪景來)의 휘하 총병관(摠兵官)인 이희저(李禧著)의 난을 당하여 온 가족이 대항하다가, 그의 아버지는 죽고 그는 아우가 비호하여 주어서 죽지 않았다는 사실을 읊은 것이다.
「연홍기(蓮紅妓)」는 가산군수 정시의 아우 질(0x9772)과 외숙이 연홍이라는 기생으로 인하여 살아나게 되었다는 사실을 적은 것이다.
「자적출관서조정견사호모청남북사십일주(自賊出關西朝廷遣使號募淸南北四十一州)……」는 1811년(순조 11) 홍경래의 난이 일어나자 조정에서 청천강 이남과 이북 41주에 근왕병(勤王兵)을 모집하였으나, 다만 의주의 김견신(金見臣)·허항(許伉)·최신엽(崔信燁) 등만이 적을 섬멸하여 공을 세웠다는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