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권 3책. 목활자본. 아들 한술(漢述)이 편집한 것을 1910년 후손인 주대(周大)와 만진(萬鎭) 등이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주대와 만진의 발문 2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74수, 서(書) 11편, 서(序) 2편, 기 5편, 발 3편, 권3·4에 잡저 2편, 권5·6에 잡저 9편, 봉안문 1편, 상향축문(常享祝文) 2편, 제문 19편, 행장 3편, 부록으로 묘표 1편, 만(輓) 11수, 제문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의 「제기백아한술(題寄伯兒漢述)」은 아들에게 준 교훈시로, 천금을 가진 부자나 교묘한 술수의 경재(卿宰)가 되는 것을 원하지 않고, 오직 독서수행하여 훌륭한 군자가 되는 것을 원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서의 「답유수부(答柳秀夫)」에는 원법(圓法)을 산출하는 데 있어서 서로의 방법과 의견이 일치되지 않는 점을 하나하나 수치를 들어 논구(論究)하는 내용이 있어 주목된다.
잡저의 「주서강록간보차의(朱書講錄刊補箚疑)」는 족형 손경(孫慶)과 함께 『주서절요(朱書節要)』의 문의(文義)·명물(名物)·고사(故事) 등의 난해한 어휘를 모아 만든 강록에 미진한 부분을 보완한 것으로, 전거와 출전을 밝혀 해설과 주서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자료이다.
「기남군시구양몽인서기후(記南君時九養蒙因書其後)」는 사람의 천성을 상실시키는 것으로는 재리보다 더한 것이 없다는 남시구의 글을 보고 부연한 것인데, 어릴 때부터 비루한 마음을 갖지 않도록 어른의 마음에 먼저 비루함을 없애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