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제 ()

가족
의례·행사
조선시대 『가례(家禮)』의 흉례(凶禮)에서 대상(大祥) 후 중월(中月)에 지내는 상례(喪禮)의 마지막 제사.
의례·행사/의례·세시풍속
시기
대상 후 중월
장소
집안의 청사(대청)
내용 요약

담제(禫祭)는 대상(大祥) 후 중월(中月)에 지내는 상례(喪禮)의 마지막 제사이다. ‘담(禫)’은 담담(澹澹)하니 평안하다는 뜻이다. 초상부터 이때까지의 기간이 총 27개월이다. 날은 점을 쳐서 정해 사당(祠堂)에 고한다. 제사 당일에 신주(神主)를 신좌에 놓으면, 제주 이하는 모두 곡(哭)으로 슬픔을 다한다. 제사 절차는 일반 제사 절차와 같다. 담제가 끝나면 상례는 끝이 난다. 이제는 상주 이하가 모두 탈상(脫喪)하고 정상 생활로 돌아가며, 앞서 돌아가신 부모의 제사는 완전한 길례(吉禮)로 통합된다.

정의
조선시대 『가례(家禮)』의 흉례(凶禮)에서 대상(大祥) 후 중월(中月)에 지내는 상례(喪禮)의 마지막 제사.
연원 및 변천

‘담(禫)’은 담담(澹澹)하니 평안하다는 뜻이다. 대상(大祥) 후 중월(中月)에 지낸다고 하였으니, 한 달을 건너뛰어 날을 점쳐서 정한다. 사마광(司馬光)은 “ 『의례(儀禮)』 「사우례(士虞禮)」의 ‘중월에 담제한다.’는 구절의 정현(鄭玄) 주에서 ‘중은 사이와 같다. 담은 제사 이름이다. 초상(初喪)부터 이때까지 모두 27개월이다.’라고 하였다. 노나라 사람 중에 아침에 대상을 치르고 저녁에 노래하는 자가 있어 주23가 웃자, 공자는 "한 달이 지났으면 좋았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공자는 대상을 치르고 난 5일 동안 거문고를 탔지만 소리 내지 않고, 10일이 지나서야 주1으로 노래하였다고 하였다. 27개월이라는 것은 윤달을 계산에 넣지 않고서 초상부터 이때까지의 달수를 가리킨다.

절차

날은 점을 쳐서 정하는데, 그 방식은 『가례(家禮)』에 자세히 규정되어 있다. 택일주2이나 주3로 하며, 한 달 전 하순 초에 다음 달 주4의 각 하루를 택하여 점을 친다. 점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탁자를 사당(祠堂) 문밖에 주5하고 향로, 향합(香盒), 배교(环珓) 쟁반을 그 위에 서쪽으로 놓는다. 참가자는 주인과 그의 자손들이다.

주인은 주6을 입고 서쪽으로 향한다. 여러 주인들도 차례대로 조금 물러나서 있는데, 북쪽이 윗자리이다. 자손들은 그 뒤에 여러 줄로 있는데, 북쪽이 윗자리이다. 집사는 북쪽으로 향하는데, 동쪽이 윗자리이다. 점치는 주체는 주인이며, 도구는 배교이다. 주인은 향을 피워 배교를 쐬고 상순의 날짜로 명하면서 “아무개가 장차 다음 달 아무 날에 선고모관부군(先考某官府君)에게 공경히 담사를 올리고자 하오니, 흠향하시기 바랍니다.”라고 한다. 옥 산통을 쟁반에 던지는데, 하나가 엎어지고 하나가 젖혀지는 것이 길하다. 불길하면, 다시 중순의 날짜로 명한다. 또 불길하면, 하순의 날짜를 사용한다.

이렇게 해서 길일이 결정되면, 주인은 곧 사당으로 들어가 본감(本龕) 앞에서 이 사실을 고한다. 고유(告由)는 당내의 주7 주8주9의 순으로 진행된다. 축(祝)은 축사를 들고 주인의 왼쪽에 서서 무릎 꿇고 아뢰는데, 축사의 내용은 “효자 아무개가 장차 다음 달 아무 날에 선고모관부군께 공경히 담사를 올리고자 점을 쳐서 이미 길일을 얻었습니다. 감히 아룁니다.”라고 한다. 주인은 두 번 절하고 내려가서 자리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모두 두 번 절한다. 축이 문을 닫고 물러간다. 만약 길일을 얻지 못했으면, ‘복기득길(卜旣得吉)’ 한 구절을 쓰지 않는다.

담제 하루 전에는 목욕하고 자리를 설치하며, 기물을 주24하고 음식을 준비한다. 제사 당일 새벽에 일어나 채소와 과일, 술, 음식을 진설하는데, 제상의 배열을 보면 수저는 안쪽(상의 북쪽 첫째 줄) 가운데에 놓고 술잔은 그 서쪽에, 초접(醋楪)은 그 동쪽(두 번째 줄)에 놓는다. 과일은 바깥쪽(네 번째 줄)에, 채소는 과일의 안쪽(세 번째 줄)에 놓는다. 병에는 술을 채운다. 주10은 당 가운데에 놓고 향로에 불을 피우며, 띠풀 묶음과 모래 두엄을 향안 앞에 놓는다. 음식은 당 문밖의 동쪽에 진설한다. 주11주12의 옛 자리에 진설한다.

시간이 되면, 주인은 담복을 입고 사당으로 나아간다. 자식이 어머니를 위해 지내는 담제에 대해, 주자(朱子)는 남편이 주관하며 소복을 입는다고 하였다. 축은 신주독(神主櫝)을 받들어 서쪽 계단의 탁자 위에 놓고 신주(神主)를 꺼내어 신좌에 놓는다. 주인 이하는 모두 곡(哭)으로 슬픔을 다한다. 모두 북쪽을 향하되, 복(服)이 무거운 사람은 앞에, 가벼운 사람은 뒤에 위치한다. 항렬이 높은 사람은 앉고 항렬이 낮거나 어린 사람은 선다. 장부(丈夫)는 동쪽에 처하되 서쪽이 윗자리이며, 부인은 서쪽에 처하되 동쪽이 윗자리이다. 줄마다 각각 나이 순서대로 늘어선다. 시종은 뒤에 자리한다.

제사 절차는 강신(降神), 주13, 주14, 주15, 주16, 주17, 주18, 주19, 주20의 순서이다. 모두 대상의 절차나 질서와 같다. 다만, 주21에는 곡하지 않는다. 주22은 고쳐서 ‘대상(大祥)’을 ‘담제(禫祭)’라 하고, ‘상사(祥事)’를 ‘담사(禫事)’라 한다. 사신에는 곡으로 슬픔을 다한다. 그러나 신주를 전송하여 사당에 이르러서는 곡하지 않는다.

의의 및 평가

담제가 끝나면, 상례는 끝이 난다. 흉례(凶禮) 절차는 슬픔의 지극함을 나타내는 단계별 차이가 있어 이를 조절해 가면서 변해가도록 설계되었다. 담제 이후에는 슬픔에서 완전히 벗어나 상주 이하가 모두 정상 생활을 회복하게 된다. 앞서 돌아가신 부모의 혼령은 사당에서 영원한 안식을 찾고 조상신의 세계에 통합되어, 길례(吉禮)로서 조상과 후손이 하나의 공동체 생활을 하게 된다.

참고문헌

원전

『四禮便覽』
『士儀』

단행본

임민혁 역, 『주자가례』(예문서원, 1999)
김시덕, 『한국의 상례문화』(민속원, 2012)
주석
주1

아악(雅樂)에 쓰는 관악기의 하나. 큰 대로 판 통에 많은 죽관(竹管)을 돌려 세우고, 주전자 귀때 비슷한 부리로 불게 되어 있다. 우리말샘

주2

천간(天干)이 정(丁)으로 된 날. 우리말샘

주3

지지(地支)가 해(亥)로 된 날. 우리말샘

주4

상순(上旬), 중순(中旬), 하순(下旬)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5

제사나 잔치 때, 음식을 법식에 따라 상 위에 차려 놓음. 우리말샘

주6

상중(喪中)에 있는 사람이 담제 뒤 길제 전에 입는 옷. 흰색과 옥색이 있다. 우리말샘

주7

두 번 절함. 또는 그 절. 우리말샘

주8

향을 피움. 제사나 예불(禮佛) 의식 따위에서, 향로에 불을 붙인 향을 넣고 향기로운 연기를 피우는 일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9

축하의 뜻을 나타내는 글을 쓰거나 말을 함. 또는 그 글이나 말. 우리말샘

주10

제사 때에 향로나 향합(香盒)을 올려놓는 상. 우리말샘

주11

죽은 사람의 영혼이 의지할 자리. 죽은 사람의 사진이나 지방(紙榜) 따위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12

영위(靈位)를 모시어 놓은 자리. 우리말샘

주13

제사를 지낼 때에, 강신(降神) 다음에 어(魚), 육(肉), 국, 떡, 메 따위의 주식(主食)을 제상(祭床)에 차리는 일. 우리말샘

주14

제사를 지내는 절차의 하나. 참신한 다음에 하는 것으로, 첫 술잔을 신위 앞에 올린다. 우리말샘

주15

제사를 지내는 절차의 하나. 초헌한 다음에 하는 것으로, 둘째 술잔을 신위 앞에 올린다. 우리말샘

주16

제사를 지내는 절차의 하나. 아헌한 다음에 하는 것으로, 셋째 잔을 신위 앞에 올린다. 우리말샘

주17

제사를 지내는 절차의 하나. 제주(祭主)가 술을 다 부은 다음 숟가락을 제삿밥 가운데 꽂고 젓가락 끝이 동쪽으로 가게 놓은 다음 재배한다. 우리말샘

주18

제사를 지내는 절차의 하나. 유식 후 제관 이하 전원이 밖으로 나오고 문을 닫는다. 문이 없는 곳이면 불을 조금 낮추어 어둡게 한다. 우리말샘

주19

제사를 지내는 절차의 하나. 합문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제관이 세 번 기침 소리를 내고 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간다. 국을 물리고 숭늉을 만 뒤 잠시 시립하다가 수저를 거두고 메 뚜껑을 덮는다. 우리말샘

주20

제사를 지내는 절차의 하나. 종헌한 다음에 하는 것으로, 신을 보내는 일이다. 두 번 절하고 지방과 축문을 불사른다. 우리말샘

주21

제사를 지낼 때에, 술을 세 번 부어 올림. 또는 그때 쓰는 술잔. 초헌(初獻), 아헌(亞獻), 종헌(終獻)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22

제사 때에 축문을 얹어 놓는 널조각. 우리말샘

주23

중국 춘추 시대 노나라의 유학자(B.C.543~B.C.480). 성은 중(仲). 이름은 유(由). 자로는 자. 공자의 제자로 십철(十哲)의 한 사람으로 정사(政事)에 뛰어났으며 공자를 제일 잘 섬겼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24

제사나 잔치 때, 음식을 법식에 따라 상 위에 차려 놓음.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