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총외기 ()

목차
관련 정보
담총외기
담총외기
문헌
조선후기 실학자의 한문 단편소설 및 아동교육론 등을 엮은 종합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실학자의 한문 단편소설 및 아동교육론 등을 엮은 종합서.
서지적 사항

1책 23장(張). 필사본. 저자 및 연대는 미상이다.

내용

책의 전반부에는 박지원(朴趾源)의 저작물인 <호질 虎叱>·<허생전 許生傳>·<열녀전 烈女傳>·<양반전 兩班傳> 등이 실려 있다.

≪담총외기≫를 박지원의 저작물로 규정하는 견해도 있으나 의문의 여지가 많다. 책의 후반부에 수록되어 있는 <천자문불가독설 千字文不可讀說>·<사략불가독설 史略不可讀說>·<통감절요불가독설 通鑑節要不可讀說>은 정약용(丁若鏞)의 저작물로 평가되기 때문이다.

조선 후기 사회제도 및 교육과정의 모순 등을 통렬히 비판한다는 점에서 사상적 일관성을 지니고 있다. <호질>·<허생전>·<열녀전>·<양반전> 등은 모두 조선 후기 신분제도의 불합리성과 양반 사대부층의 위선을 공박한 풍자소설인 것이다.

또한, 양반층의 무위도식을 비판하고 상공업 등의 생산활동에 적극 참여할 것을 주장하는 진보적 의식성향도 보여주고 있다. 후반부에 수록되어 있는 <천자문불가독설>·<사략불가독설>·<통감절요불가독설>은 흔히 <삼불가독설 三不可讀說>로 불린다.

종래에는 <삼불가독설>이 ≪담총외기≫에 수록되어 있음을 근거로 하여, 이를 박지원의 저술로 판단하는 견해가 대두되었다. 최근에는 정약용의 저술 가운데서 <삼불가독설>이 그의 저작물임을 알려주는 자료가 발견되어, 기존학설이 비판받고 있다.

<천자문불가독설>은 주흥사(周興嗣)의 ≪천자문≫이 조선시대 아동에게는 극히 부적절한 교재임을 주장하고 있다. 즉, ≪천자문≫은 아동들에게 암기위주의 문자학습을 하도록 강요하여, 실제 경험세계와 유리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또한 ≪천자문≫은 천문개념(天文槪念)에서 색채개념으로, 또 다시 우주개념으로 급격한 사고전환을 하여 아동들로 하여금 사물에 대한 일관성 있는 이해를 상실하게 한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한자의 조자원리에 따른 문자교육, 유별(類別) 분류 및 음양대립적 문자배열 등을 그 학습원리로 제시하였다.

<사략불가독설>과 <통감절요불가독설>도 아동의 이해수준 및 그들의 경험세계와 일치하지 않는 한자교육의 맹점을 공박한 것이다. 즉, 현실성이 없는 신화·우화·설화 등을 교재의 주된 내용으로 할 때, 아동의 학습능력이 크게 낙후되고 이해에 혼란을 초래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명확한 사관(史觀)이 없는 사서(史書)를 아동에게 교육시키는 것은 자칫 일관된 인격형성에 장애가 됨을 주장하였다. ≪담총외기≫에 실려 있는 <삼불가독설>은 ≪여유당전서≫의 <천문평>·<사략평>의 내용과 대동소이하고, ≪여유당전서보유≫에 수록된 이른바 <삼불가독설>과 내용이 일치한다. 규장각도서 등에 있다.

참고문헌

『近世朝鮮敎育史硏究』(渡部學, 雄山閣, 1969)
『與猶堂全書補遺解題』(金泳鎬, 景文社, 1973)
「丁若鏞敎育理論의 經驗論的性格」(丁淳佑, 韓國精神文化硏究院附設 韓國學大學院 碩士學位論文, 1981)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정순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