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주첩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수령의 포폄(褒貶) 사항을 상세하게 기록하여 왕이 열람하도록 만든 첩자(帖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수령의 포폄(褒貶) 사항을 상세하게 기록하여 왕이 열람하도록 만든 첩자(帖子).
내용

1708년(숙종 34) 처음으로 만들어 숙종이 ‘대주첩’이라고 친히 이름을 붙였다.

'대주'는 '침전의 기둥'이라는 뜻으로, 당나라 선종(宣宗)이 이행언(李行言)의 이름이 적힌 첩을 침전 기둥에 붙여놓았다는 고사에서 원용하여 지어졌다.

원래 이 대주첩 제도는 수령의 어짊과 어질지 못함이 백성의 편안함과 고달픔의 관건이 되므로, 그들의 행적을 항시 고찰하여 포폄함으로써 선정을 유도할 목적에서 실시되었으나, 후에는 장법(贓法)에 저촉된 오리(汚吏)를 수령으로 임용하지 않기 위한 자료조사의 목적으로도 이용되었다.

뿐만 아니라 관찰사를 추천하고 포폄하기 위한 자료의 작성에도 원용되었다. 수령이나 관찰사의 임용을 위한 참고자료로서의 대주첩은, 대체로 시원임대신(時原任大臣)이 각기 2인의 관찰사 후보자를 추천하고, 여러 재상이 각기 1인의 수령 후보자를 천거하면, 이조에서 그것을 차례로 기록하여 왕에게 올리는 절차를 밟아 작성되었다.

이후 이 제도는 1764년(영조 40) 이른바 속대주첩(續代柱帖) 제도로 바뀌었는데, 수령의 치적에 대한 평가기준을 10개의 항목으로 나누고, 10개항에 모두 상(上)의 평가를 받은 수령만을 첩으로 만들어 올리게 하는 것이 그 중요한 내용이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반계수록(磻溪隨錄)』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