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통사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 후기 출정군의 최고사령관.
목차
정의
고려 후기 출정군의 최고사령관.
내용

도원수(都元帥) 이하 여러 장수들을 통솔하였다. 1360년(공민왕 9) 왜구가 대규모로 침입하자 좌정승(左政丞) 유탁(柳濯)을 경기병마도통사(京畿兵馬都統使)로 임명하여 동강(東江) 및 서강(西江)의 병마사(兵馬使)들을 지휘토록 한 것이 그 최초의 출현이다.

이후 출정군이 편성될 때마다 이를 총사령관으로 하여 도원수 이하의 여러 원수 및 병마사를 통솔토록 하였는데, 이러한 지휘체계의 제도적 정비는 1369년 북원(北元)과의 외교를 단절하고 그에 대한 대비책으로 이인임(李仁任)을 서북면도통사로 파견한 것을 계기로 이루어졌다.

즉 이 때 도통사의 하부 기구로 진무소(鎭撫所)와 경력사(經歷司)를 두고 종2품 및 정3품의 진무(鎭撫) 2명, 4품관인 경력(經歷) 2명, 5품 내지 6품으로 임명되는 지사(知事) 2명을 배치함으로써 군령 및 군사행정 기구를 모두 갖춘 군사력의 최고지휘부로 자리 잡게 되었다.

한편 우왕대 이후로는 한 사람이 몇 개 도(道)의 군사력을 지휘할 수 있는가에 따라 3도도통사니 6도도통사니 하는 직함을 갖게 되었는데, 1388년(우왕 14)의 요동(遼東) 정벌 때 8도도통사였던 최영(崔瑩)의 경우가 대표적인 예이다.

이 밖에 수군(水軍)에 대한 지휘권을 가진 사령관으로 해도도통사(海道都統使)란 직함도 있었다. 전란이 계속되던 시기에 군권을 장악하고 있는 만큼 이러한 도통사에는 보통 왕이 신임하는 최고위 관료가 임명되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후기(高麗後期)의 군사(軍事) 지휘체계(指揮體系)」(오종록, 『국사관논총(國史館論叢)』 24, 1991)
집필자
김재명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