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소만록 ()

동소만록
동소만록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후기 학자 남하정이 붕당의 전말에 관해 저술한 정치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학자 남하정이 붕당의 전말에 관해 저술한 정치서.
서지적 사항

3권 2책. 필사본.

개설

남하정은 벼슬하지 않고 평생 처사적(處士的) 생활을 영위했던 인물이다.

이 책은 갑술환국(甲戌換局) 이후 영조대에 들어와 명분상 수세에 몰린 남인(南人)에게 자신을 유지해갈 수 있는 명분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었다. 동시에 현실적으로도 현저히 와해되어가고 있는 남인 계열의 실상을 보여줌으로써 그 결속을 강화하자는 의도하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내용

내용을 살펴보면, 1379년(우왕 5) 이성계(李成桂)의 일화(逸話)로부터 영조 전반기인 1740년대까지의 이야기를 시대순으로 적고 있다. 권1에서는 처음에 신덕왕후 강씨(神德王后康氏 : 太祖妃)의 상휘호(上徽號) 복릉침문제(復陵寢問題), 정종의 추상묘호문제(追上廟號問題)와 성종의 폐비윤씨문제 등이 언급되었다. 이 문제들은 조선 전기의 문제이면서 인조반정 이후 집권 사림이 명분으로 들고 나와 사단이 되었던 것이었다.

권2에서는 인조반정과 대청척화(對淸斥和)·주화(主和)의 문제, 북벌문제(北伐問題) 및 복제문제(服制問題) 등이 언급되고 있다. 권3에서는 장희빈(張禧嬪)사건 이후 기사(己巳)·갑술(甲戌)의 정국에 대한, 주로 남인들의 주장을 수록하면서 장희빈 쪽에 섰던 남인 입장의 불가피성을 변호하고 있고 경종·영조대 이후 변동된 정국에서의 주요 남인의 동향을 기술하였다.

끝으로 부록으로 중요 인물에 얽힌 이야기와 그 인물에 대한 평을 적고 있다. 서술의 형식을 보면 숙종대 전반 이전까지의 기사는 주로 타인의 저술에서 인용해 그 출전을 부기(附記)하는 방식을 취했으나, 그 뒷부분에서 주로 남하정 자신의 견문에 의한 직접적 저술을 하였다. 아울러, 기사의 말미에 전거(典據)를 밝힘으로써 붕당에 관한 책으로서의 객관성을 유지하려고 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이 시기의 그 어느 붕당론에 관한 책보다 폭 넓은 시기의 광범위한 사실을 다루고 있으며, 붕당론에 관한 한 통사적 체계를 갖춘 최초의 것이라는 데 의미가 있다. 이 책은 박사정(朴思正)에 의하여 1779년(정조 3)경에 개편되었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동소선생유고(桐巢先生遺稿)』
「18세기 남인 분열과 기호남인학통의 성립」(유봉학, 『한신대학논문집』 1, 1983)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철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