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원보불속편 ()

목차
관련 정보
문원보불속편
문원보불속편
조선시대사
문헌
1852년 존현각에서 관각(館閣)의 옥책 · 죽책 · 교명 · 반교 등의 문장을 수록한 관찬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852년 존현각에서 관각(館閣)의 옥책 · 죽책 · 교명 · 반교 등의 문장을 수록한 관찬서.
내용

10권 6책. 인본.

1787년(정조 11) 존현각(尊賢閣)에서 편집, 간행된 『문원보불』의 속편이다. 규장각 원임제학(原任提學) 김흥근(金興根) 등이 고정(考訂)했으며, 조연흥(趙然興) 등이 감인(監印)해 1852년에 간행하였다. 편집은 대체로 『문원보불』과 같다.

내용을 보면 권1에는 정순왕후(貞純王后) 등의 존호·왕비책봉·시호(諡號)를 올릴 때 제술(製述)한 옥책문(玉冊文), 권2에는 순종·헌종·철종의 등극을 알리는 반교문(頒敎文)을 비롯해 대비책봉(大妃冊封) 등, 권3에는 존호·시호·부묘(祔廟)·문묘종사(文廟從祀)·토역(討逆)에 관한 반교문이 수록되어 있는데, 홍경래(洪景來)의 난을 평정한 1812년의 반교문과 김인후(金麟厚)의 종사반교문 등을 수록하였다.

권4에는 교명문·죽책문·제문·악장(樂章)·애책문(哀冊文) 등, 권5에는 왕릉·원묘(園墓)·종묘(宗廟)·전각(殿閣)·누당(樓堂) 등의 건물에 대한 상량문(上梁文), 권6에는 자규루(子規樓)·장락당(長樂堂)·춘수당(春壽堂)·복래당(福來堂)·경룡관(景龍館) 등 21편의 상량문 등을 싣고 있다.

권7에는 왕이 신하에게 내리는 사제문(賜祭文), 서원이나 사(祠)에 왕이 친히 이름을 짓고 아울러 글을 지어 내리는 사액문(賜額文), 정조의 묘정에 배향된 배향교서 및 내각교지(內閣敎旨) 등이 수록되었다.

권8에는 홍낙성(洪樂性)·조만영(趙萬永) 등의 궤장교서(几杖敎書)와 이경일(李敬一)·남공철(南公轍) 등의 치사교서(致仕敎書) 및 내각교지 등, 권9에는 교서·유서(諭書)·비답(批答)·전(箋), 마지막으로 권10에는 표(表)·주(奏)·별주(別奏)·자문(咨文)·노포(露布 : 봉함을 하지 않고 노출된 채로 선포하는 포고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조선시대 왕의 이름으로 작성되는 모든 공식문의 서식을 살피는 데 좋은 사료로 평가된다. 현재 규장각에는 9종의 이본이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문원보물(文苑寶物)』
『문원보불속편(文苑黼黻續編)』 1-2(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7)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철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