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전유고 ()

목차
관련 정보
동전유고
동전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중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이칭
이칭
동전잠사유고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중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5권 8책. 석인본. 1938년 아들 기호(起號)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말에 전수기(全秀機)와 족질 충호(忠鎬)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4에 부(賦) 2편, 시 776수, 권5∼9에 서(書) 172편, 잡저 13편, 설 5편, 명 7편, 권10에 서(序) 18편, 기 15편, 권11∼13에 발 16편, 상량문 7편, 축고유문(祝告由文) 3편, 제문 26편, 애뇌문(哀誄文) 6편, 구묘문(丘墓文) 31편, 권14에 행장 8편, 권15에는 부록으로 가장 1편, 행장 1편, 묘갈명 2편, 묘지명 1편, 만사 41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잡저 중 「만초(漫草)」는 이황(李滉)과 유성룡(柳成龍) 등의 언행과 성리설에 대한 여러 사람의 비판을 다시 비판하고, 역사·문학 등 각 방면에 걸친 그의 견해를 단편적으로 밝힌 것으로서, 모두 109개 항목에 달한다.

「정심장선조선생훈전언성찰고의(正心章先祖先生訓專言省察考義)」는 이황이 지은 「정심장훈석(正心章訓釋)」에 대한 후인들의 논란에 대하여 자신의 견해를 밝힌 것으로서, 성찰과 존양(存養) 중 경우에 따라서 한쪽만 언급하였더라도 사실은 언급하지 않은 다른 쪽의 뜻도 그 내면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밝힌 글이다.

「계아(誡兒)」와 「권아독서첩(勸兒讀書帖)」은 주로 선현들의 격언을 발췌한 것으로, 그 내용은 존심(存心)·지신(持身)·거가(居家)·처세(處世) 등 33칙으로 되어 있다.

이밖에 「단구일록(丹邱日錄)」은 기행문으로 1916년 9월 26일에 안동을 출발하여 풍기를 거처 단양의 도담(島潭)을 보고 돌아온 10일 동안의 기록이며, 「치생위학선무론(治生爲學先務論)」은 배우는 목적이 먹고사는 데 있다는 의론을 비판한 논문이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박성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