둔병도 ()

목차
관련 정보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조발리에 있는 섬.
지명/자연지명
면적
0.808㎢
둘레
7.13㎞
소재지
전라남도 여수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둔병도는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조발리에 있는 섬이다. 2023년 9월 기준으로 38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국도 77호선을 통해 여수시 화양면과 고흥군 영남면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라남도에서 명명한 ‘백리섬섬길’에 해당한다. 둔병도와 조발도를 연결하는 둔병대교, 둔병도와 낭도와 연결하는 낭도대교가 설치되어 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조발리에 있는 섬.
내용

동경 127°53′, 북위 34°62′에 위치한다. 여수시에서 남서쪽으로 28㎞, 조발도에서 남서쪽으로 0.8㎞ 지점에 있다. 면적은 0.808㎢이고, 해안선 길이는 7.13㎞이다.

지명은 임진왜란 당시 수군이 일시 주둔하였던 곳이라 하여 ‘둔병도’라 부르게 되었다. 마을 앞 해안의 ‘둠벙(웅덩이)’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다.

지질은 대부분 중성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다. 섬의 지형은 남쪽은 낮은 산지이고, 북서쪽은 경사가 완만한 구릉지여서 농경지가 형성되어 있다. 북쪽 해안에 발달한 만을 중심으로 간석지가 넓게 펼쳐져 있고, 남쪽 해안에는 암석 해안이 발달해 있다. 자생하는 상록활엽수종은 참식나무, 구실잣밤나무, 생달나무, 후박나무, 동백나무 등이고, 주1 주2이 섬 전체적으로 서식하고 있다.

기온은 겨울인 1월은 평균 2.1℃, 여름인 8월은 평균 24.8℃이다. 연강수량은 1,247㎜이다.

마을은 섬의 남서쪽에 있는 선착장 주변에 둔병마을 한 곳이 형성되어 있다. 임진왜란 당시 ‘성주 배씨’가 순천에서 난을 피해 은신처로 처음 입도한 것으로 전해온다. 남서쪽에 위치한 하과도(下瓜島)와 교량으로 연결되어 있다. 문화유산으로는 주3 유적이 발견된 바 있고, 민속문화로 음력 정월 대보름에 지내는 마을 당제가 전해져 온다.

현황

2023년 9월 기준으로 인구는 38명(남 17명, 여 21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25세대이다. 취락은 하과도와 마주 보는 남쪽 해안에 집중해 있다. 주민들은 대부분 농업과 어업을 겸하고 있다. 주요 농산물은 고구마 · 마늘 · 보리 · 쌀 등이다. 연근해에는 장어 · 멸치 · 문어 등이 어획되며, 김과 꼬막 등의 양식도 행해진다.

교통은 국도 77호선을 이용하여 여수시 화양면과 고흥군 영남면 쪽으로 차량 이동이 가능하다. 전라남도에서 여수시 돌산에서 고흥군 영남으로 해상 교량을 거쳐 연결되는 도로를 ‘백리섬섬길’로 명명하여 관광자원화하고 있다. ‘백리섬섬길’ 내에 둔병도와 조발도를와 연결하는 둔병대교, 둔병도와 낭도를 연결하는 낭도대교가 설치되어 있다. 낭도에서 둔병도 선착장으로 다니는 배가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도서지』 (내무부, 1985)
『도서현황』 (전라남도, 1988)
『한국도서백서』 (전라남도, 1996)
『여수통계연보』 (여수시, 2009)
『한국지명유래집』 전라·제주편(국토지리정보원, 2010)
주석
주1

소나뭇과의 상록 침엽 교목. 높이는 20미터 정도이며, 5월에 가지 끝에 노란색의 꽃이 피고 열매는 구과(毬果)로 다음 해 10월에 익는다. 재목은 건축재, 도구재, 땔감으로 쓰고 나무껍질과 꽃가루는 식용한다. 주로 해변에서 자라는데 한국의 남부,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2

비슷한 생육 조건을 가진 식물들이 군락을 이루어 자생하고 있는 지역. 우리말샘

주3

원시인이 먹고 버린 조개껍데기가 쌓여 이루어진 무더기. 주로 석기 시대의 것으로 바닷가나 호반 근처에 널리 분포하며, 그 속에 토기나 석기ㆍ뼈 따위의 유물이 있어 고고학상의 귀중한 연구 자료가 된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