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헌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문신, 이인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6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이인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6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1956년에 간행되었다. 권두에 권상규(權相圭)의 서문과 권말에 정재경(鄭在璟)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7수, 주의(奏議) 121편, 권2에 연보, 권3에 증유(贈遺)·척록(摭錄), 권4는 부록으로 가장(家狀)·사장(事狀)·행장·묘지명·묘갈명·신도비명 등이 있다.

주의 가운데 중요한 것으로는 「청급주현학전의(請給州縣學田議)」·「신구주계군심원의(伸救朱溪君深源議)」·「상척이단권학정소(上斥異端勸學政疏)」·「청물복이순종적소(請勿復李揗宗籍疏)」·「청검열군적계(請檢閱軍籍啓)」·「청봉선사물부청와소(請奉先寺勿覆靑瓦疏)」·「청물급염승도소(請勿給鹽僧徒疏)」·「논김효강천법계(論金孝江擅法啓)」·「청인견정철견김굉필계(請引見鄭鐵堅金宏弼啓)」·「논윤필상간첨계(論尹弼商姦諂啓)」·「청유인홍형신계(請柳仁洪刑訊啓)」·「청이배유인홍계(請移配柳仁洪啓)」·「청장단묘소제문두사상정계(請長湍墓所祭文頭辭商訂啓)」·「청대상후간첩계(請大祥後揀妾啓)」·「청물경거폐비윤씨추숭계(請勿輕擧廢妃尹氏追崇啓)」·「청물개작대조전전랑계(請勿改作大造殿前廊啓)」·「청추쇄무도첩승충군보계(請推刷無度牒僧充軍保啓)」·「청특허송흠귀양계(請特許宋欽歸養啓)」 등이 있다.

「사우연원록(師友淵源錄)」은 김종직(金宗直)·정여창(鄭汝昌) 등 모두 74명에 대해 기록한 것이고, 「사화전말록(史禍顚末錄)」은 1498년(연산군 4)에 일어난 무오사화의 전말을 기록한 것이다. 이 자료들은 모두 사료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