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경집 ()

임실 신흥사
임실 신흥사
불교
문헌
조선 후기, 정관파 승려 무경 자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38년에 개판한 시문집.
이칭
이칭
무경집문고(無竟集文稿)
문헌/고서
편찬 시기
1738년(영조 14)
간행 시기
1738년
저자
무경 자수(無竟子秀)
편자
자간(慈侃)
권책수
3권 3책
권수제
무경집(無竟集), 무경집문고(無竟集文稿)
판본
목판본
표제
무경집, 무경집문고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등
내용 요약

『무경집(無竟集)』은 조선후기 정관파 승려 무경 자수(無竟子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38년에 개판한 시문집이다. 권1에는 시, 권2와 권3에는 문을 수록했는데 「도학설(道學說)」, 「시비설(是非說)」, 「삼교설(三敎說)」 등 중요한 사상적 내용을 담은 기문이 많다.

정의
조선 후기, 정관파 승려 무경 자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38년에 개판한 시문집.
저자 및 편자

무경 자수(1664~1737)주1추계 유문(秋溪有文, 1614∼1689)의 제자이다. 자수는 남양(南陽) 홍(洪)씨로 전라북도 전주 출신이다. 운문사(雲門寺) 추계 유문의 아래에서 공부하여 과 교는 물론 유교와 노장에까지 정통했다. 30세에 내원암(內院庵)에서 주2을 열었고 74세로 입적하였다. 유문과 자수 두 사제의 탑은 전라북도 완주 종남산 송광사(松廣寺)에 세워졌다. 자수는 선교일치(禪敎一致)와 삼교회통(三敎會通)을 주장하였고, 저술로는 『무경집(無竟集)』 외에도 『무경실중어록(無竟室中語錄)』이 있다.

서지사항

『무경집』은 3권 3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목판본이다.

편찬 및 간행 경위

『무경집』은 자수의 제자 자간(慈侃)이 스승의 주3를 모아 1738년(영조14) 전라북도 임실의 사자산 신흥사(新興寺)에서 개판하였다.

구성과 내용

『무경집』은 3권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권1에 시(詩), 권2와 권3에 문(文)을 수록하였다. 책의 첫머리에는 오광운(吳光運) · 관물거사(觀物居士) · 윤현동(尹顯東)의 서(序)가 나온다.

권1에는 오언 주5 5편, 칠언 주6 4편, 잡저(雜著) 11편, 오언 주7 주8 27편, 오언 절구 주9 4편, 칠언 주10 근체 54편, 칠언 절구 변체 14편, 오언 주11 근체 30편, 오언 율시 변체 12편, 칠언 주12 56편, 칠언 율시 변체 2편 등 다양한 형식의 시가 실려 있다. 시를 주고받은 대상도 승속(僧俗)을 아우르고 있다.

권2에는 문 37편이 실려 있는데, 사자산 광수암(廣修庵)을 시작으로 모악산 은선암(隱仙庵), 운주산 용장사(龍藏寺) 등의 주32 주13 및 사적(史跡, 주14을 기록한 주15 11편, 부모와 제자 등을 위한 제문 4편, 주16설(道學說), 주17설(修善說), 주18설(是非說), 주19설(性情說), 주20설(三敎說)의 주21 5편, 『백곡집(白谷集)』 등의 주22 2편, 편지글 5편, 사(詞)표(表) 각 1편, 주23 4편, 모악산 귀신사(歸信寺) · 종남산 송광사(松廣寺) · 임실 신흥사(新興寺) · 모악산 금산사(金山寺)의 사적사(事蹟詞) 등이 수록되어 있다.

「도학설」에서는 바른 스승을 만나 주29주30를 전수받는 것의 중요성을 말했고, 「수선설」에서는 감정과 사리사욕을 따르면 자기에게 이로울 것 같지만 결국에는 그렇지 않다는 주장을 드러냈다. 「시비설」은 세상 사람들이 옳고 그름을 말하지만 기준이 분명하지 않다는 것을 지적한 후, 과연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논리적으로 추궁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성정설」에서는 본성에 내재한 이치를 다하는 이가 성인이고 욕심과 정에 따르는 이가 주4으로 천리(天理)의 성품을 회복할 것을 주장한다. 「삼교설」에서는 “리는 일원이며 이를 밝히는 것이 삼교”라고 하여 일원적 리를 따라 본성을 다하는 것을 삼교의 주31로 보았다.

권3에는 왕축초(王祝草), 영산별초(靈山別草), 기도칠성사(祈禱七星詞)에 이어 주24 1편, 만일사(萬日寺), 반룡사(盤龍寺), 용추사(龍湫寺) 등 6편의 사적사, 쌍계암(雙溪庵) 관련 주25 1편, 제문 2편, 주26주27 12편, 서문 1편, 기타 주28 20여 편 등 50여 편의 글이 수록되어 있다. 이어서 제자 회경(懷瓊)이 쓴 「무경대사행장(無竟大師行狀)」이 나오고, 책의 마지막에는 허채(許采)가 쓴 발문이 실려 있다.

의의 및 평가

『무경집』은 무경 자수의 생애와 사상이 담긴 시와 기문을 모은 책으로 조선 후기 유 · 불 관계와 당시 불교계가 본성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문헌이다.

참고문헌

원전

『무경집(無竟集)』

단행본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신구문화사, 2010)
김용태, 『조선 불교사상사』(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21)
무경 자수, 김재희 역, 『(한글본 한국불교전서-조선15) 무경집』(동국대학교 출판부, 2013)

논문

이대형, 「『무경집문고』의 변려문과 역사성-사적사(事蹟詞)를 중심으로-」(『열상고전연구』 62, 2018)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무상한 현상계 속에 있는 불변의 본체적ㆍ이념적인 것을 심안(心眼)에 비추어 바라보는 것. 우리말샘

주2

강의나 강연 또는 설교를 하는 자리. 우리말샘

주3

죽은 사람이 생전에 써서 남긴 원고. 우리말샘

주4

많은 사람. 또는 여러 사람. 우리말샘

주5

한시(漢詩)에서, 한 구(句)가 다섯 글자로 이루어진 고체(古體). 염(簾)을 보는 일이나 글귀 수에 제한이 없이 운(韻)을 달아 몇 구로든 지을 수 있다. 우리말샘

주6

한시(漢詩)에서, 한 구가 칠언으로 된 고시. <초사(楚辭)>, 항우의 <해하가>, 한나라 고조의 <대풍가(大風歌)>, 한나라 무제의 <추풍사#GT#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7

한 구가 다섯 글자로 된 절구. 중국 당나라 때에 성행하였다. 우리말샘

주8

구수, 자수, 평측 등에 대한 엄격한 규칙이 있는 한시. 고체시와 상대되며, 중국 당나라 때에 정형이 이루어져 율시 및 절구가 대량으로 나타났다. 우리말샘

주9

중국의 육조와 당나라 때 성행한 한문 문체. 문장 전편이 대구로 구성되어 읽는 이에게 아름다운 느낌을 주며, 4자로 된 구와 6자로 된 구를 배열하기 때문에 사륙문(四六文)이라고도 한다. 우리말샘

주10

한시(漢詩)에서, 한 구가 칠언으로 된 절구. 모두 4구로 이루어진다. 우리말샘

주11

한 구가 다섯 글자로 된 율시. 우리말샘

주12

한시(漢詩)에서, 한 구가 칠언으로 된 율시. 모두 8구로 이루어진다. 우리말샘

주13

부처를 모신 집. 우리말샘

주14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이나 시설의 자취. 우리말샘

주15

기록한 문서. 우리말샘

주16

유교 도덕에 관한 학문. 우리말샘

주17

선행을 쌓거나 올바르게 행동함. 우리말샘

주18

옳음과 그름. 우리말샘

주19

성질과 심정. 또는 타고난 본성. 우리말샘

주20

유교ㆍ도교ㆍ불교, 또는 유교ㆍ불교ㆍ선교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1

한자의 구조와 본래의 뜻을 설명하는 일. 우리말샘

주22

책이나 논문 따위의 첫머리에 내용이나 목적 따위를 간략하게 적은 글. 우리말샘

주23

관아나 벼슬아치가 임금에게 올리는 말. 우리말샘

주24

부처나 명부(冥府) 앞에 죽은 이의 죄복(罪福)을 아뢰는 글. 우리말샘

주25

상량식을 할 때에 상량을 축복하는 글. 우리말샘

주26

착한 일을 하도록 권장함. 우리말샘

주27

승려가 시주에게 돈이나 물건을 기부하게 하여 좋은 인연을 맺게 하는 글. 우리말샘

주28

편지에 쓰는 특수한 형식의 문체. 상대편에게는 경어(敬語)를 쓰고, 자신은 겸양의 말을 쓰는 것이 특징이다. 우리말샘

주29

마음을 쓰는 법. 우리말샘

주30

묘한 이치. 우리말샘

주31

중요한 점. 우리말샘

주32

낡은 건물을 헐거나 고쳐서 다시 지음.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