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재일기 ()

묵재일기
묵재일기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시대 문신 · 학자 안방준이 정치가 이귀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의 일들을 연대별로 정리한 전기.
내용 요약

『묵재일기』는 조선 시대 문신·학자 안방준이 이귀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의 일들을 연대별로 정리한 전기이다. 이귀는 인조반정을 성공시키고 정국을 주도했던 인물로 그의 호가 묵재이다. 발문에 의하면 이귀의 아들이 안방준에게 아버지의 일기를 편집해 달라고 부탁하였다. 안방준은 원고의 체재를 8편으로 정리·편찬하였고 그것이 『대동야승』에 수록되었다. 이본으로 규장각본이 있는데 편찬자나 편찬 시기가 확실하지 않다. 내용은 안방준 편찬본과 거의 비슷하지만 더 자세하다. 이 책은 17세기 전반기 역사나 정치사의 이면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정의
조선시대 문신 · 학자 안방준이 정치가 이귀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의 일들을 연대별로 정리한 전기.
개설

이귀선조 연간부터 서인(西人)의 입장에 서서 동인(東人)의 공격을 받는 이이(李珥)성혼(成渾)을 적극적으로 두둔하고 옹호하였다. 또한 광해군과 대북(大北) 세력에 대항해 주1을 성공시키고 그 뒤의 정국을 주도하는 등 당대 정치사에서 매우 중요한 구실을 담당한 인물이었다. 묵재는 그의 호이다.

서지적 사항

규장각 소장본과 『대동야승(大東野乘)』에 포함되어 있는 안방준(安邦俊) 편찬의 것 등 이본이 전한다. 이긍익(李肯翊)『연려실기술』에서 『연평일기(延平日記)』라고 인용한 책도 같은 것으로 생각된다.

내용

안방준의 발문에 의하면, 이귀의 아들 시백(時白)시방(時昉)이 이귀의 일기를 안방준에게 주어 편집을 부탁하였고, 안방준은 이 초고의 체재를 수정하여 8편으로 정리하였다. 규장각 소장본은 편찬자나 편찬 시기를 확실히 알 수 없다. 그러나 이귀에 대해 공(公)이라고 호칭하고 있거나 죽은 뒤의 일들이 부기 되어 있다. 이것으로 보아, 안방준이 재편집을 하기 이전에 이귀의 일기에 대해 시백과 시방이 기초적인 수정을 가한 것, 또는 그것을 필사한 것으로 보인다.

안방준이 편찬한 것은 처음에는 『노랄수사(老辣隨辭)』라고 하였으나 후에 『묵재일기』로 굳어진 듯하다. 이것은 『대동야승』 권60에 「평거언행(平居言行)」 · 「반정시사(反正時事)」 · 「치역론변(治逆論辨)」, 권61에 「추숭론변(追崇論辨)」 · 「편당론변(偏黨論辨)」, 권62에 「강화론변(講和論辨)」 · 「비어론변(備禦論辨)」 · 「잡설부록(雜說附錄)」으로 나누어져 실려 있으며, 끝에 편찬자의 발문이 있다.

「평거언행」은 동서 당론 이후 광해군 대까지 스승 이이를 두둔하고 대북의 독선적 행위에 맞선 일들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반정시사」와 「치역론변」에서는 김류(金瑬) · 신경진(申景禛) · 최명길(崔鳴吉) 등과 함께 추진한 반정의 계획과 실행 과정, 그리고 반란을 일으킨 이괄(李适) 등 반정 후의 반대파 처리에 이르는 일들을 기록하였다.

「추숭론변」은 인조가 그 생부 정원대원군(定遠大院君)을 왕으로 추존하려 한 것에 대해 대다수의 신하들이 반대해 큰 물의가 빚어진 가운데 이귀가 적극적으로 인조의 편에 섰던 일을 기록한 것이다. 「편당론변」은 기존의 붕당간의 대립과 새로이 발생한 공신과 일반 사류(士類)들 사이의 대립이 얽혀 복합적으로 전개되고 있던 반정 이후 중앙 정계의 상황에서 이귀가 처했던 처지를 기술하고 그것을 옹호한 내용이다.

「강화론변」은 1627년의 정묘호란 때 이귀가 화의론(和議論)을 주장하면서 척화론을 주장하던 윤황(尹煌) 등과 대립한 내용을 실었다. 「비어론변」은 정국을 담당한 뒤 1635년(인조 13) 죽을 때까지 나라의 방어를 위해 진언한 내용을 기록하였다. 끝의 「잡설부록」은 인조와의 개인적인 관계나 조정에서의 다양한 이야기들을 엮은 것이다.

규장각본은 이귀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의 일들을 연대별로 나누어 해당 연도의 간지 아래 기술했으며, 관계 있는 상소문이나 주3 등도 풍부하게 전재하였다. 끝에는 치제와 이장의 사실을 간단히 덧붙였다. 또한 이귀가 지은 것으로 보이는 「박참판경신만(朴參判慶新挽)」과 「오리이공사궤장연창수시(梧里李公賜几杖連唱酬詩)」를 수록하였다.

전체적으로 두 책이 거의 같은 내용이지만, 안방준이 편찬한 것에 비해 규장각본이 더 자세하며, 문장 표현에서도 다른 점이 여러 부분 발견된다.

의의와 평가

안방준이 편찬한 것은 『대동야승』이 1910년 조선고서간행회(朝鮮古書刊行會)에서 활자본으로 간행되고 근래에 민족문화추진회에 의해 완역될 때 거기에 포함되어 간행, 번역되었다. 이 책은 17세기 전반의 역사, 특히 정치사 연구에 있어 관찬사서가 지니는 한계를 극복해 당시 이면 상황을 이해하는데 크게 도움이 되는 책이다.

참고문헌

『(국역) 묵재일기』(이귀 지음, 안방준 찬집, 민족문화추친회 역, 연안이씨충정공파종회, 2012)
주석
주1

조선 광해군 15년(1623)에 이귀ㆍ김유 등 서인(西人) 일파가, 광해군 및 집권파인 대북파(大北派)를 몰아내고 능양군(綾陽君)인 인조를 즉위시킨 정변. 우리말샘

주2

조선 인조 5년(1627)에 후금의 아민(阿敏)이 인조반정의 부당성을 내세우고 침입하여 일어난 난리. 인조가 강화(江華)로 피란하였다가 강화 조약을 맺고 두 나라는 형제의 나라가 되었다. 우리말샘

주3

임금이 명령을 내림. 또는 그 명령.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오수창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