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창우 ()

괴천문집 / 박창우
괴천문집 / 박창우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주역집해』, 『괴천문집』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여인(汝寅)
괴천(槐泉)
이칭
역남선생(易南先生)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36년(인조 14)
사망 연도
1702년(숙종 28)
본관
밀성(密城)
출생지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주역집해』, 『괴천문집』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밀성(密城). 자는 여인(汝寅), 호는 괴천(槐泉). 박현(朴睍)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서산유씨(瑞山柳氏)로 유정기(柳禎麒)의 딸이다. 유년시절에 큰아버지 박돈(朴暾) 밑에서 공부하여 약관에 경학(經學)과 사서(史書)를 두루 섭렵하여 경주부윤이 실시하는 하과(夏課)에 장원으로 뽑혔다.

생애 및 활동사항

그 뒤 1666년(현종 7) 사마시에 합격하여 내사(內舍)에 임명되었다. 박창우는 성균관 유생시절에 『주자대전(朱子大全)』의 간행에 많이 공헌하였으며, 1684년(숙종 10) 유생의 수반(首班)으로서 호남유생들의 상소문사건으로 인하여 유배되었다가 혐의가 없음이 밝혀져 곧 풀려났다.

그 뒤 김방한(金邦翰)·유극배(柳克培) 등과 함께 『주역집해(周易集解)』 3권을 찬술하여 경연(經筵)에 진상하자 왕이 극찬하여 내각(內閣)에서 감정(勘訂: 헤아려 정정함)하여 간행하도록 명하였으나 이루어지지 않았다.

당시의 학자들은 『주역』에 대하여 발군의 실력을 갖춘 그를 고려 때 역동(易東)으로 불린 우탁(禹倬)에 비하여 ‘역남선생(易南先生)’이라고 일컬었다.

후에 동궁폐위사건이 일어나자 성균관의 유생 92인과 혈서로 세자를 구하려는 상소를 하였다.

아울러 국정과 시폐에 대한 대책으로서 현재(賢才)를 중용(重用)하고 농업과 학문을 장려하며 국방의 수비를 철저히 할 것 등을 건의하였다. 한편 사회를 정화하는 제도적인 방법으로 19조항으로 된 향음주례의식(鄕飮酒禮儀式)을 제안하였으며, 저서로는 『괴천문집(槐泉文集)』 2권 1책과 『주역집해』 3권이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