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석유고 ()

유교
문헌
조선 중기의 문신 유즙(柳楫, 1585~1651)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44년에 간행한 시문집.
문헌/고서
편찬 시기
1844년(헌종 10)
간행 시기
1844년(헌종 10)
저자
유즙(柳楫)
편자
유광인, 유경기 등
권책수
5권 2책
권수제
백석유고(白石遺稿)
판본
목활자본
표제
백석유고(白石遺稿)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백석유고』는 조선 중기의 문신 유즙(柳楫, 1585~1651)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간행한 시문집이다. 1844년에 목활자본으로 초간되고 19세기 중반에 희현당철활자본으로 중간되었다. 정묘호란과 관련된 인물과 사건에 대한 시문을 많이 수록하고 있다.

키워드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유즙(柳楫, 1585~1651)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44년에 간행한 시문집.
서지사항

1844년의 초간본은 5권 2책이며, 목활자본이다. 19세기 중반의 중간본은 7권 4책이며, 희현당철활자본이다.

편찬 및 간행 경위

『백석유고』는 두 차례에 걸쳐 간행되었다. 송시열의 5대손 송환기(宋煥箕, 17281807)의 독려로 5대손 유광덕(柳光德)이 집안에 전하던 유고를 수습하여 1797년(정조 21)에 유광실(柳光室)과 함께 송환기에게 서문을 받아 간행을 도모하였으나 이루지 못하였다. 그 후 5대손 유광인(柳光寅)과 6대손 유경기(柳敬基)가 부록을 수집하고 1831년에 유명기와 조병상(趙秉常)이 부탁하여 조인영(趙寅永, 17821850)이 발문을 짓는 등 간행 준비를 마쳤다. 1844년(헌종 10)에 6대손 유명기(命基基), 유옥증(柳玉增), 유두증(柳斗增) 등이 간행 실무를 맡아 활자로 인쇄하여 발행하였다. 이것이 초간본이다.

이후 6대손 유두증이 7대손 유정태(柳鼎台) · 유정팔(柳鼎八) 등과 함께 장성(長城)의 후손가에서 찾아낸 저자의 전책(殿策), 집책(執策) 2권과 「증제동자설(贈諸童子說)」, 「귀천쟁우설(貴賤爭優說)」, 「송죽국쟁장설(松竹菊爭長說)」 등 설(說) 3편을 증보하고 이를 초간본과 합편한 후 후손 유광인 · 유경기 · 유옥증의 지(識)와 유두증 · 유정대의 발문을 추가하여 7권 4책의 활자본으로 인쇄하여 발행하였다. 이것이 중간본으로 간행 시기는 19세기 중반으로 추정된다.

구성과 내용

권1에 시 162수, 권2에 기(記) 4편, 서(書) 3편, 문(文) 1편, 제문(祭文) 4편, 청건사현사우문(請建四賢祠宇文) 1편, 잡문 5편, 권3에 소(疏) 9편, 서(序) 2편, 설(說) 1편, 묘갈명 2편, 권4·5는 부록으로 관직제배연월(官職除拜年月) 1편, 녹(錄) 4편, 계(啓) 1편, 만사(輓詞) 7수, 제문 · 묘갈명 · 행장 · 통문 · 상량문 · 봉안문 각 1편, 서(書) 26편, 기타 8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호란의 처참한 상황을 노래한 「문호병범경성(聞胡兵犯京城)」, 「문일처녀로입호중(聞一處女擄入胡中)」, 「경란일견재금녀즉제(經亂日見載琴女卽題)」, 삼학사 오달제(吳達濟)를 추모하며 지은 「차오공시이애지(次吳公詩以哀之)」, 강화 성립에 비분을 토로한 「문강화술회(聞講和述懷)」, 1637년에 의병을 이끌고 청주에 가서 지은 「행도청주문강화(行到淸州聞講和)」, 「청주귀로감개호운(淸州歸路感慨呼韻)」, 척화신 김상헌을 기린 「독김청음소(讀金淸陰疏)」 등 호란과 관련된 작품이 다수를 이룬다.

기에는 승반산의 초당에서의 안분자족을 서술한 「초당기(草堂記)」, 주1대설(大雪)에 관한 대화를 통해 학문의 체득을 강조한 「설기(雪記)」 등을, 문에는 1636년 12월에 전라도 지역의 의병을 모집한 「창의격문(倡義檄文)」 등을, 소에는 이이(李珥)성혼(成渾)의 문묘종사를 청한 「청양현종사소(請兩賢從祀疏)」, 청의 변란에 대처할 방안을 진달한 「진삼책소(陳三策疏)」, 설에는 소나무, 대나무, 국화를 의인화하여 군자는 우열을 다투지 않는다는 내용의 「송죽국쟁장설(松竹菊爭長說)」 등을 수록하고 있다.

부록에는 「관직제배년월(官職除拜年月)」, 『호남모의록(湖南募義錄)』 · 『양호거의록(兩湖擧義錄)』 · 『송수옹일기(宋睡翁日記)』 등의 초록, 김집(金集), 조속(趙涑) 등 인물의 글에서 발췌한 「제가기술(諸家記述)」, 저자가 작성한 전책과 집책, 김장생, 김집, 조속, 이시백(李時白), 원두표(元斗杓) 등 26인이 보낸 42편의 간찰(簡札) 등을 수록하고 있다.

현황

초간본은 현재 국립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등에 소장되어 있고, 중간본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성균관대학교 존경각 등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원전

유즙, 『백석유고』

기타 자료

이미실, 「『백석유고』 해제」(한국고전번역원 제공, 2010)
정길수, 「『백석유고』 해제」(규장각 제공)
주석
주1

시골에 사는 늙은이. 우리말샘

집필자
노요한(고려대 한자한문연구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