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사집』은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이항복(李恒福, 1556~1618)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간행한 시문집이다. 1629년(인조 7) 간행 강릉본, 1635년(인조 13) 간행 진주본, 1726년(영조 2) 간행 영영본의 세 판종이 전한다. 당대의 경세가 이항복의 시문과 당대 주요 인물 및 사건에 대한 저자의 여러 공적·사적 기록 등을 수록하고 있다.
1629년(인조 7) 간행된 강릉본은 원집 6권, 별집 6권, 부록 (10책)이, 1635년(인조 13) 간행된 진주본은 원집 6권, 별집 4권, 부록 · 보유 (8책)이, 1726년(영조 2) 간행된 영영본은 원집 23권, 부록 7권 (15책)이 전한다. 목판본이다.
『백사집』은 세 차례에 걸쳐 간행되었다. 초간본인 강릉본은 주1되어 있던 주2을 문인들이 주도하여 1629년(인조 7) 강릉에서 처음 간행한 것이다. 장유(張維)의 서문에 의하면 강원도 관찰사 이현영(李顯英)이 같은 동문인 강릉 부사 이명준(李命俊)과 함께 저자의 유고를 모아 간행하였다고 한다. 원집 6권, 별집 6권, 부록(도합 10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간본인 진주본은 1635년(인조 13)에 경상우병사 정충신(鄭忠臣)이 진주에서 강릉본을 원집 6권, 별집 4권, 부록 및 보유(도합 8책)로 재편집하여 목판으로 간행한 것이다. 장유는 발문에서 초간본이 간행된 뒤에 편차(編次)가 잘못되고 오자가 적지 않다는 지적이 많아 문하생들이 공동으로 교정하여 틀린 곳은 고치고 빠진 곳은 보충하고 쓸데없는 것은 삭제하고 위치가 잘못된 것은 바로잡았다고 하였다. 이 중간을 주도한 인물은 영남우도 절도사(嶺南右道節度使) 정충신(鄭忠信)이다. 그는 저자의 가장 총애 받은 문인으로 저자의 북청 유배 길과 사후 장사 지낼 때까지의 모든 사실을 「백사북천일록(白沙北遷日錄)」으로 남긴 인물이기도 하다. 이 중간본은 저자가 기축옥사(己丑獄事) 때 남긴 「기축기사(己丑記事)」가 포함되어 있어, 남인(南人)들 사이에서 정치적 이유로 거론되기도 하였다.
영영신간본(嶺營新刊本)은 이러한 문제를 불식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저자의 5대손 이종성(李宗城)의 주도로 1726년(영조 2) 영남 감영(監營)에서 목판으로 간행한 것이다. 원집 23권, 부록 7권(도합 15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영영본은 강릉본과 진주본 모두 착오가 많고 시문에 출입이 있어 두 본을 대교하고 종합하여 전집을 만든 것이다.
권14는 시 · 가영(歌詠) · 만(挽), 권58은 차(箚), 권912는 계(啓), 권13·14는 의(議), 권15는 잠(箴) · 명(銘) · 서(序) · 기(記) · 발(跋), 권16은 잡저(雜著), 권17은 신도비명, 권1820은 묘갈명, 권21은 행장(行狀) · 유사 · 제문(祭文), 권22는 서독(書牘), 권23은 조천기문(朝天記聞)으로 되어 있다.
부록의 권1은 연보, 권2는 가장(家狀), 권3은 행장, 권4는 제문, 권5는 만사(挽詞), 권6은 제공찬술(諸公撰述), 권7은 의변(疑辨) 등이다.
시는 고금체 333수를 대략 시대순으로 편찬한 것으로, 「이흥효의 미인도에 제하다[題李興孝美人圖]」, 「산수도(山水圖)」, 「박연폭포 그림에 제하다[題朴淵圖]」 등 당시 사대부 문인의 예술 취향을 알 수 있는 다수의 주3, 난세의 역경을 문학으로 표현한 난중시(亂中詩)와 유배시(流配詩) 등을 수록하고 있다.
서발류는 남원 · 담양 · 동복 · 나주 등 전라도 주요 보루 지역 소재의 산성도(山城圖)에 부친 해설인 「전라도산성도후서(全羅道山城圖後敍)」, 허균(許筠)의 시집에 부친 서문이자 저자의 시론이 되어 있는 「성소잡고서(惺所雜稿序)」, 한유의 문집인 『한창려집』을 훈련도감자로 간행하면서 작성한 「훈련도감인 한창려집발(訓鍊都監印 韓昌黎集跋)」 등을 수록하고 있다.
신도비명은 「도원수권공묘지(都元帥權公墓誌權慄)」, 「회재선생지(晦齋先生誌李彦迪)」, 「한원부원군이공묘지(漢原府院君李公墓誌李德馨)」, 「연안이공비(延安李公碑李廷馣)」, 「율곡선생비명(栗谷先生碑銘李珥)」, 충무공의 노량대첩 기념비인 「통제사이공노량비명(統制使李公露梁碑銘)」 등을 수록하고 있다. 「율곡선생비명」은 이이(許筠)의 십만양병설이 처음 언급된 곳이기도 하다.
행장은 정치가, 시인, 학자로 당대에 명망이 높던 박순(朴淳)에 대한 글을 수록하고 있고, 유사는 임진왜란에서 큰 업적을 세운 권율(權慄), 이순신, 유성룡(柳成龍) 등에 대한 기록을 수록하고 있다.
계(啓), 차(箚), 의(議) 등 주의류(奏議類) 산문에서는 저자의 경세관을 비롯하여 국방과 민생을 포함한 국정의 당면 과제와 그에 대한 저자의 대책을 살펴볼 수 있다. 국왕에게 올리는 주의류의 글들이 『백사집』의 3분의 1일 넘는 분량을 차지하고 있어, 35년간 조정의 여러 관직에서 국정을 두루 담당했던 저자의 경세 문장과 관직 이력을 함께 엿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