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원항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별감사, 밀직사, 첨의평리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수원(水原)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후기에, 별감사, 밀직사, 첨의평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수원(水原). 아버지는 중랑장(中郎將)을 지낸 백진생(白眞生)이다. 일찍이 안향(安珦)으로부터 “뒷날에 반드시 귀현(貴顯)하리라.”는 말을 들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279년(충렬왕 5)에 국자감시(國子監試)에 수석으로 합격했다. 1311년(충선왕 3)에 선군(選軍)을 둘 때 지언부사(知讞部事)로서 별감사(別監使)가 되었는데 이때 사복영사(司僕令史)를 매를 쳐서 죽인 탓으로 영흥도(靈興島)에 귀양갔다. 뒤에 풀려나 전교령(典校令)이 되었다.

1314년(충숙왕 1)에 윤신걸(尹莘傑)·윤선좌(尹宣佐) 등과 함께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진강(進講)했다. 1317년에 총부전서(摠部典書)로 동고시관(同考試官)이 되어 진사(進士)를 뽑아 홍의손(洪義孫) 등을 급제하게 했다.

1321년에 밀직사(密直使)가 되었다가 첨의평리(僉議評理)가 되었으며, 그 해 박효수(朴孝修)와 함께 상왕 충선왕(忠宣王)의 환국을 요청하는 글을 써서 원나라 중서성(中書省)에 보냈다. 또 요리사인 한만복(韓萬福) 등이 충숙왕(忠肅王)의 비(妃) 복국장공주(濮國長公主)의 사인(死因)이 왕의 구타에 의한 것이라는 진술이 무고임을 밝히는 글을 써서 원나라 중서성에 보냈다.

그 해 김순(金恂)·윤석(尹碩) 등과 함께 상왕 충선왕의 신임을 받고 권세를 부리고 뇌물을 받아 막대한 부(富)를 누리던 권한공(權漢功)·채홍철(蔡洪哲) 등을 귀양보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